--------------------------------------------------------------------------------

 

#

일단,

알바생 3명을 뽑고 근무시간을 배정해주고난후에야 겨우 내 시간이 남게 되었다.

처음에 무작적 <중고서점>을 한다는 생각을 한 이유는 단순하다.

아버지가 남겨준 작은 건물 한채에서 나오는 월세로 나와 엄마 생활비는 충분히 나오는 상황이라서

특별하게 돈을 많이 벌어야할 상황도 아니었고,

내 입장에서야, 서울에서 7년동안 밤낮을 잊은채 회사생활을 하다보니

거의 페인이 되다시피하고 고향으로 내려왔기때문에 별로 뭔가 일을 할 의욕도 없는 상태였기때문이다.

그러다가 문득 어릴때부터 하고 싶었던 서점경영이라는 아이디어가 번쩍 떠올랐기때문이다.

 

 

 

#

서점을 하려면 책들은 어디서 구하는 걸까 ?

 

막상 서점을 열겠다는 생각을 하고보니 현실적인 문제가 너무 한꺼번에 터진다.

일단, 구청에 업종신고도 하고, 서점용 인테리어도 의뢰하고, 알바생도 구하고,

서점을 채울 기본적인 책들도 구하는등 

며칠째 시행착오중이다.

그런데, 뭐, 서둘러 할 필요도 없어서 그냥저냥 그날 그날 문제만 해결하는 방식으로 일을 하고 있다.

원래는 서점이 준비가 다 된 상태에서 알바생을 뽑아야 하는데,

미리 뽑아둔 덕분에 그 애들도 나와 함께 서점 개업 준비를 같이 하게 되었다.

 

김영석 --- 나이 30, 현재 공무원 준비생이고 알바와 공부를 병행하고 있다. 머리 좋고 책임감 있어서 기대 만땅...

 

남수현 --- 나이 22, 대학 2학년마치고 휴학상태, 하고싶은게 많아서 고민인 처자...

 

박연지 --- 나이 20, 여고를 나온후 게속 집에서 놀다가 심심해서 알바를 시작한지 얼마 안됨...

 

 

사장인 나하고 이렇게 총 4명으로 서점사업을 시작하기로 했다.

자본이 별로 없는데

너무 사람이 많은가 ?? 라는 생각이 뒤늦게 드는 것이,....

 

 

 

 

 

 

 

 

 

 

 

 

-------------------------------------------------------------------------------

 

#

문화적인 성숙도는 아주 한참 멀었구나 하는게....

최근 2,3년간의 내 관찰의 결론이다.

벌써 21세기인데,

아직도 지구 한쪽에서는 2개의 전쟁 비슷한게 진행중이고,

우리 곁에는 아까운 젊은이들이 자꾸만 떠나간다.

사람에 대한 비교와 평가를 할 자격이 없는 사람들이 많은데, 왜 자꾸 남들에게 지적질을 하는걸까 ?

 

 

 

거의 인터넷과 유튜브, 스마트폰에 중독일 정도인 나지만

그래도 <인터넷 수사대>라는 단어는 아주 아주 많이 싫어합니다.

우리가 맨 처음 인터넷을 만든 이유는

내가 알기로는 어느정도는 사람다운 맛이 난걸로 알고 있는데 말이다.

어느 순간 인터넷과 유튜브, SNS는 남들에 대한 혐오와 비난등으로 가득한 모습이다.

한참 역사를 거슬러 올라가서 1만년전이나 10만년전으로 돌아가서

인간의 종족의 기원을 새롭게 시작하고 싶다는 생각이 들 정도입니다........

 

 

 

 

물론,

나 자신의 모순점이나 못난점을 잊고는 있지는 않아요.

단지, 

며칠전의 아까운 가수와 배우의 떠남을 추억해볼 뿐입니다.....

혹은,

얼마전의 제주항공의 안타까움을 조금 생각해볼 뿐입니다.

 

 

빨리 내 할일이나 해야겠죠.

내 먹고살 일이나 걱정해야겠어요.

괜히 오지랍 떨기에는 너무 자신이 부족한게 많으니,

그냥,

내가 할일이나 열심히 하면서 살아야겠습니다.....

 

 

 

 

 

 

 

 

 

 

 

 

 

 

/************************************

# IVE 아이브 'Either Way’ MV

 

*****************************************/

https://youtu.be/_Hu4GYtye5U?si=AMkGh-7wuh4rFCvw

 

 

 

 

...

...

----------------------------------------------------------------------

 

 

 

 

 

 

------------------------------------------------------------------------------------------

 

 

/***********************************************

Lou Reed - Perfect Day (Official Audio)

 

*****************************************************/

https://youtu.be/9wxI4KK9ZYo?si=oCf2pYITDh5FcFqf

 

 

 

 

 

 

 

 

 

# [장면 01]

대학생쯤의 나이, 혹은 MZ세대라면,

영어공부를 어떻게 해야할지 모를때가 있습니다.

그럴때, 토익점수가 높은 친구가 있으면 이렇게 물어보겟죠...

"영어 좀 잘할수 있는 방법이 없을까 ?

좋은 영어책 좀 추천해줄수 있어 ? "

 

그럼, 보통 두권의 책을 추천합니다. 

(1) Grammar-in-Use

(2) 천일문 기본편과 완성편

아마 수능세대이고 토익을 스펙삼아 공부했던 사람들이라면 보통 이 두권의 책들로

영어를 공부한 세대일겁니다.

그만큼 대중화되어 있고 국내에서 영어를 공부하는 사람들의 기본실력을 키우는데 도움이 되는 교재들입니다.

하지만,

실제로 이 책들을 사놓고 펼쳐보면 막막함을 느끼게 됩니다.

왜냐하면, 책에 해설이 별로 없어요.

영어문장만 나열되어 있거나,

천일문같은 경우 영어와 한글해석만 줄줄이 끝없이 나열되어있는 정도지요.

그런상황이니 아무리 좋은 교재라도 처음 시작하는 사람에게는 너무나 답답하기만 한겁니다.

어떻게 천일문을 공부해야하는지에 대한 방법은 누구도 가르쳐주지 않습니다.

 

 

 

 

 

 

 

...

...

# [장면 02]

한국의 사교육비 지출은 얼마쯤 될까요 ?

보통 1년의 사교육비가 약 25조 정도라고 합니다.

그중에서 아마도 약10조정도는 영어교육에 지출된다고 생각합니다.

엄청난 비용이 지출되는거죠.

그런데,

실제로 한국인의 영어실력은 20년전이나 10년전에 비해서 그렇게 발전한거 같지는 않습니다.

왜 그럴까요 ?

 

 

 

 

 

...

...

2025년 현재의 한국의 영어공부환경은 20년전에 비해서 비약적인 발전을 했습니다.

서점의 영어학습서나 유튜브등의 영어학습법, 자료, 좋은 교재, 영어원서, TED, 팟캐스트등의

정보로 보면 진짜 이제는 국내에서도 영어정복은 아주 쉬운 것이 아닌가 하는 착각을 하게 됩니다.

유튜브방송은 몇개만 찾아봐도 예전의 문법학습법의 문제점을 뛰어넘는 

좋은 학습법을 알려주는 방송이 많습니다.

그런데, 개인적으로 이런 정보의 홍수상태가 영어학습자들에게는 진짜 도움이 안되는거 아닌가

의심이 가능 중입니다.

왜냐하면, 

유튜브나 유명 영어강사들이나 출판사들은 돈을 버는게 목적이기 때문입니다.

유튜브 영어방송을 1회가 아니라 매일 방송해야 하고 교재나 방송을 팔아먹어야하는 콘텐츠를

계속 만들어야 한다는 배경이 있기때문인듯 싶습니다.

그러니,

한두번에 영어를 잘하는 핵심방법을 전달할수는 없는거죠.

1년이고 2년이고 지속적으로 팔아야 하는 상품성을 위해서 방송내용을 조절해야 한다는 것이

그 근본적인 한계인거 같습니다.

 

 

 

 

 

 

 

 

...

...

# [ 정답을 제시할 정도의 실력은 없지만, 최소한의 노력은 해보려고 합니다]

그러니까,

아주 단순한 몇가지의 생각을 출발점으로 삼아서

2025년 현재의 가장 현실적인 영어공부법을 정리해 보려 합니다.

 

<천일문, 즉 구문독해책을 공부하는 방법은 어디에 있을까 ?>

답답해서 저자의 직강을 메가스터디에서 수강하면, 솔직히 실망할지도 모릅니다.

그 강사분은 문법 몇가지 설명과 그냥 교재의 영어문장을 한글로 해석해주고

수업이 끝입니다.

왜냐하면 그정도 수준의 강의로도 수능점수만 높기를 원하는 학습자의 필요를 충족할수 있기때문이죠.

 

 

 

...

...

천일문을 공부하는 목적은,

(1) 동사와 동사 아닌 것들을 구분하는 능력을 키우는 것입니다.

(2) 대충 단어들의 뜻을 가지고 짜맞추어서 문장을 해석하는 구식의 공부법을 벗어나,

문장구조에 기반한 해석과 문법응용능력을 키우는 것입니다.

(3) 기본문장과 종속절, 수식어구를 구별하는 감각을 훈련하는 교재입니다.

 

 

천일문, 혹은 구문독해 교재를 통해서 영어공부를 하는 목적을 분명히 이해하는 곳에서부터

진짜 영어공부를 향한 방법을 찾는 길이 보입니다.

국내에서도 충분히 영어정복을 할수 있다는 아주 과학적인 근거를 찾는 노력이 아주 중요해지는 것이죠...

 

 

다음 예문 몇가지를 비교해 봅시다.

a.       reading books

b.       reading books

c.       reading books

 

 

어떻게 해석이 달라질까요 ? 

영어는 위치, 자리에 따라서 그 단어의 역할이 달라집니다.

a.[명사]       reading books is my ~~

b.[형용사적]      the girl reading books

c.[부사적]       reading books~, 주어+동사~~

똑같은 단어, 구문이라도 사용되는 자리, 위치에 따라서 해석이 달라집니다.

영어는 위치언어입니다.

그래서, 단어나 구, 절은 항상 그 사용되는 "맥락/자리/위치"에 따라서 해석이 달라지고,

그 역할이 달라집니다.

어떤게 그 역할인지 빨리 판단하는 감각을 훈련하는 것이 천일문 공부의 핵심입니다.

 

 

 

 

 

 

Girls, this morning you had a breakfast which you couldn't eat. You must be hungry, so I have ordered a lunch of bread and cheese for you all.' The teachers looked at her in surprise.' Don't worry, I take responsibility for it,' she told them. We were delighted, and all rushed out into the garden to eat our lunch. Nobody had taken any notice of me so far, but I did not mind that. I stood alone outside, watching some of the stronger girls playing, trying to forget the bitter cold, and thinking about my life. Gateshead and the Reed family seemed a long way away. I was not yet used to school life. And what sort of future could I look forward to? As I wondered, I saw a girl near me reading a book. I felt brave enough to speak to her, since I too liked reading.' Is your book interesting? What is it about?' I asked.' Well, I like it,' she said after a pause, looking at me.' Here, have a look at it.' I glanced quickly at it but found it too difficult to understand, so I gave it back.' What sort of school is this?' I asked.' It's called Lowood school. It's a charity school. We're all charity children, you see. I expect your parents are dead, aren't they? All the girls here have lost either one or both parents.'' Don't we pay anything? Is the school free?' I asked.' We pay, or our relations pay



 

 

 

I was not yet used to school life. And what sort of future could I look forward to? As I wondered, I saw a girl near me reading a book. I felt brave enough to speak to her, since I too liked reading.' Is your book interesting? What is it about?' I asked.

 

As I wondered, I saw a girl near me reading a book.

//

// 이 문장에서 a girl 을 수식하는 형용사적용법(분사)으로 "reading a book"이 사용된다.

//

 

 

 

 

 

--------------------------------------------------

 

#

구문독해책(천일문)은 문장구조를 이루는 구성성분을 <3개의 덩어리>로 보고 있다.

문장 = <5형식문형> + [형용사구절] + [부사구절]

 

[수식어구/종속절]을 이루는 전명구, 부정사, 분사, 관계사, 부사절등을 몇개의 예문을 통해서 

실제 문장을 정리하고 암기하기 위한 실천적인 교재인 셈이다.

영이이론이 아니라 실제 영어문장을 암기하는 재료를 제공하고 있다.

그 교재 2권에 나오는 문장을 암기하고 정리하는 방식으로 공부방향을 잡으면 된다.

 

 

<기본문장>은 5형식문형을 만든다.

기본문장을 5형식/ 7형식 / 16형식정도까지 세분화해서 패턴을 정리하고

암기하는 것이 영어 초급자들에게는 아주 중요한 문법공부가 된다.

중학교때부터 이런 영어공부의 선후관계를 제대로 배우지 못한 실수가 나중에 영어실패자를 만든 것이다.

 

 

 

 

 

기본문장은 5형식구조를 만들고, 세분화해서 16형식정도까지 나누는게

그나마 현실적인 영어해석능력을 만드는 기본 출발점이 된다.

일단, 영어문장을 구조에 기반해서 해석하는 능력을 개발해야 한다.

 

(1형식) S + V

(2형식) S + V + C

(2-1형식)  S + V + C[명사]

(2-2형식)  S + V + C[형용사]

 

(3형식) S + V + O

(3-1형식) S + V + 명사

(3-2형식) S + V + [to부정사구]

(3-3형식)   S + V + [동명사구]

(3-4형식)  S + V + [명사절]

(3-5형식)  S + V + O + for명사

(3-6형식)  S + V + O + from ~ing

(3-7형식)  S + V + O + of명사 ---> 박탈,제거동사

(3-8형식)  S + V + O + of명사 ---> 통고, 알림동사

(3-9형식)  S + V + O + with명사

(3-10형식)   S + V + O + to명사

(3-11) 재귀대명사를 목적어로 취하는 동사

(3-12) 동종목적어

 

(4형식)  S + V + I.O + D.O

(4-1) 3형식전환시 to 취하는 동사

(4-2)    for 취하는 동사

(4-3)    of  취하는 동사

(4-4)    on이 간접목적어 앞에오는 동사

(4-5)   3형식으로 전환이 불가능한 동사 암기

 

(5형식)   S + V + O + O.C

(5-1)   S + V + O + 명사(구)

(5-2)   S + V + O + 형용사(구)

(5-3)   S + V + O + as명사,형용사

(5-4)   S + V + O + to be 명사, 형용사

(5-5)   S + V + O + for 명사, 형용사

(5-6)   to부정사를 목적보어로 가지는 동사

(5-7)   p.p를 목적보어, 수동관계로 가지는 동사

(5-8)   지각동사

(5-9)    사역동사

(5-10)    유지,발견,상상동사

 

 

대충 문법책에 나오는 <5형식문형>구조를 종류별로 나누어서

필수적으로 공부할 패턴종류로 나누어보니 약 30개 정도가 나온다.

학문적으로는 90개, 200개로도 나눌수 있을 것이다.

하지만,

현실적인 영어실력을 높이는 용도로 우리가 문장을 분석할때는 5형식~ 16형식 정도까지

나누는 것으로 충분하다. 

나머지는 동사별로 단순암기해서 정리하면 되는 용법문제가 되는 것이다.

결국 우리는 영어단어, 동사를 암기할때 최소한 <그 동사는 어떤 형식을 가지는가?>라는

질문에 대한 대답까지도 공부의 대상이라는 결론이 생긴다.

 

 

 

 

 

 

...

...

----------------------------------------------------------------

 

 

 

 

 

 

--------------------------------------------------------------------------------------

 

 

#

우리가 공부를 많이 하고도 영어를 정복못하는 이유는 문장구조에 대한 공부를 안했기때문이다.

그리고, 사용가능한 표현덩어리, 문장, 구문등의 실제 문장을 암기하고 [출력훈련]을 하는 

공부과정이 학교나 학원에서 부재했기 때문이다.

한국 영어의 문제는 실제로는 영어선생이나 강사들 잘못이라고 해도 지나친 말이 아니다.

 

문장구조를 중심에 두고, 품사문법책 한권을 정복한다.

그리고 많은 단어와 구동사, 숙어, 표현덩어리를 암기한다.

그 다음 자신이 공부한 이론을 연습할 독해교재나 영어원서, 영자신문등을 통해서

진짜 <리딩학습>단계를 마지막 연습코스로 순서를 잡으면 될것이다.

 

 

 

 

 

 

 

 

 

 

 

 

 

 

 

 

 

 

 

 

 

 

 

 

 

 

 

 

 

 

 

 

 

 

/****************************************

Rachael Yamagata - Duet

:: 비가 와서 그런지, ....지붕뚫고 하이킥, 신세경이 생각나네요

 

****************************************************/

https://youtu.be/uA6wARPeK_c?si=XcRLzws9aUrHpqdc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