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문장성분과 품사를 비교한다. 무엇을 기준으로 영어공부를 하는가 ?

 

 

 

 

 

 

 

문장성분은 <5형식 문형>을 설명하는 구성성분이다.

보통 주어, 서술어(동사), 목적어, 보어 라는 4가지 필수성분으로 <5형식 패턴>을 설명하는

기준으로 삼는다.

 

+

그러나 보통 우리가 접하는 문장은 이렇게 단순하지가 않다.

기본문장에 더하는 구조는 흔히, 수식어를 말한다.

주의할점은 수식어는 문장을 구성하는 필수요소가 아니라 <보충어, 수식어>로서 사용된다는

것이다.

 

보통 수식어는 <형용사 패턴>과 <부사패턴>으로 나눌수 있다.

 

 

우리가 영어공부를 할때 <영어해석을 중요시한다>

5형식패턴을 만드는 4가지 필수 성분만이 <해석의 기준>이라는 점을 강조해야 한다.

 

...

 

 

 

...

 

문장에서 영어는 우리말로 해석하는 과정을 필수적으로 거칠수밖에 없다.

그 과정에서 초보의 영어학습은 시작하는 것이다.

 

 

주어는 < 명사 + ~은, 는, 이, 가 >를 덧붙여 해석하면 된다.

 

서술어는 보어나 목적어를 취하면서 < ~이다, ~되다, ~한다/했다>정도로 해석한다.

 

목적어는 <명사 + ~을/를, ~에게>를 붙여서 해석한다.

 

보어는 <서술어 + 보어>의 구조를 가지고 < ~이다, ~가 되다>라는 형태로

주어의 상태를 서술해준다.

 

 

 

 

 

 

<기본문장>에 덧붙여지는  <단어, 구, 절>을 수식어라고 한다.

그 수식어는 형용사패턴으로 명사를 꾸미기도 하고,

부사패턴으로 <형용사, 동사, 부사, 문장전체>를

수식하는 기능을 가진다.

 

 

 

 

해석을 할때 항상 문장구조를 기준으로 접근하는 습관을 가져야한다.

그래야  <기본문장>과 <수식어>가 더해지는 영어만의 문장구조를 연습할수 있기 때문이다.

 

 

정말로 중요한건,

한글로 해석하는 것이 아니라, <의미단위>, 청크 단위로 영어를 영어로 읽고 넘어가는

감각, 실력을 자신의 것으로 만들어야 한다는데 있다.

 

기준점은 <영어는 항상 주어 + 서술어~라는 기본문장으로 시작한다는 어순법칙>이다.

항상 영어문장을 접할때는 시작하는 단어가 <기본문장, 주어 + 서술어~>라는 감각적인

캐치가 필요한 것이다.

 

그렇게 해야 영어문장을 제대로 말과 글로 사용할수 있는 것이다.

 

 

 

 

 

 

 

...

 

 

 

...

 

 

<5형식패턴>을 만드는 필수성분은 없으면 문장자체가 성립하지 못한다.

<완전한 문장>이라는 개념이 중요하다.

 

항상 문장구조상으로 <완전한 문장>을 이루는가 ?

단어를 채워서 읽는 과정이 영어독해의 과정이다.

우리가 어렵게 <5형식패턴>을 연습하는 이유는,

다양한 문장구조를 영어로 습득할려는 과정의 시작이 중요하기 때문이다.

 

 

기본문장을 성립시키는 필수성분은 4가지이다.

즉, 주어, 서술어, 목적어, 보어 이다.

이 필수성분만으로 문장은 완전한 문장으로 역할을 다하는 것이고, 우리가

만드는 문장은 항상 <기본문장 + 수시거 패턴....>등으로 출발한다는 사실을

기억하자.

 

 

 

 

(1) 주어 연구

 

 

가장 먼저 주어에 대한 연구를 해보자.

주어는 명사만이 가능하다.

그러나 문장구조상으로 그렇게 간단하지 않은 이유는

영어에서 명사단어를 대신해서 < 단어, 구, 절>등으로 의미단위를 데체,교환하는 방식으로

문장을 길게 만들기 때문이다.

 

영어는 위치언어이다.

영어는 자리언어이다.

 

 

 

 

 

Ex. 01

 

 

The book / is mine

 

The book on the table / is mine

 

 

위의 예문에서는,

주어는 < 명사 ---> 명사구/명사+수식어 >로 확장되어 문장을 길게 만드는

방식을 취하고 있다.

 

 

 

주어를 길게 만드는 방식은 2가지가 있다.

주어자리의 <명사단어>자리에

명사구, 준동사/ 투부정사,동명사를 대치하는 방식과 명사절을 대체해서 넣는 것이다.

 

 

또 다른 방법은 <명사>에 수식어패턴을 더해서 명사를 길게 만드는 방법이다.

 

주로 두가지 방법을 사용해서 명사를 명사구, 명사절 등으로 길게 만드는 방식이

영어의 문장구조가 발전하고 확장되는 방식인 셈이다.

 

 

 

 

...

 

 

 

...

 

 

(2) 서술어, 동사 연구하기.....

 

 

 

서술어는 동사, 동사구, 표현등으로 일정한 형태를 가진다.

그래서 동사/서술어를 영어공부에서 중요하다는 강조를 많이 한다.

 

동사자리를 파악하면 전체 문장구조가 간단히 이해되기 때문이다.

 

서술어가 길어지는 방법은,

조동사를 더하는 방법과 12시제에 따른 동사형태의 변화와

시제, 수동태등의 동사 자체의 변화 방법을 따라간다.

 

 

 

 

 

...

 

 

 

...

이렇게 문장구조를 이루는 필수 용소를 <기본문장>, 5형식패턴등으로 이해하고 넘어간다.

수식어를 더하여 다양한 문장을 만드는 스킬을 익히는 것이

문법공부의 목적이기도 하다.

 

 

 

그러나 항상, <단어공부>와 문장공부를 통해서 문법을 문장에서 이해하고 적용하는 연습을

많이 해야 진짜 실력이 늘것이다....

 

 

 

 

 

 

 

===========================================

 

 

 

# 품사공부와 문장성분의 관계는.../ 문법책을 기본편과 중급편으로 나누기

 

 

 

 

 

우리가 영어를 못하는 이유는,

문법책을 기본/중급으로 제대로 문장구조 중심의 학습을 하지 못한 탓이 크다.

그리고 단어공부와 구문/문장구조와의 관계를 이해하지 못하는 탓도 있고,

독해를 하면서 문장을 자신의 것으로 만드는 연습이 부족하기도 한 이유 때문이다.

 

결국, 영어는 새로운 마음가짐으로 이해하고, 암기하고 연습한다는

부지런함이 있으면 충분히 잘할수 있는 대상이다.

 

 

 

영어는 <위치언어>, <자리언어>라는 말을 하는 이유는,

영어는 구조적으로 기본문장과 수식어의 배치로서 문장의 주어,목적어, 동사, 보어 등의

역할을 만들기 때문이다.

 

 

순서에 따라 주어가 되고, 서술어가 되고 목적어, 보어가 되는 것이다.

그래서 5형식 문형과 문장구조, 구와 절의 형태 등의 구조적인 접근을 하는 것이다.

 

문장구조를 중심으로 기본문장과 수식어의 구조를 이해해야 해석이 되고,

공부한 단어나 구문을 자신의 말과 글로 사용할수 있는 진짜 영어실력을 가지게 될것이다.

 

 

주어

= 명사

= 명사구, 명사절

 

 

주어는, <명사 종류>만이 만들수 있다는 형태적인 이유가 중요하다.

명사를 보면 처음에 해야할 생각은 <이 명사가 주어인지, 목적어, 보어인지 빨리 감각적으로

확인하는 연습이 몸에 체득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서술어, 목적어, 보어등도 마찬가지다.

그래서 품사공부를 하는 것이다. 서술어는 동사나 동사구, 이디엄, 구동사, 표현등의

동사적인 형태만이 가능한 것이다.

 

 

보어는 명사와 형용사의 두가지 품사종류가 가능하다.

그래서 그 다양한 형태를 영어예문으로 연습을 많이 해야 몸에 체득된다.

품사공부는 <기본문장/5형식패턴>과 <수식어패턴>을 구분하는 가장 기초적인

실력을 만들어 준다.

 

 

 

 

그래서 문법책은 기본편과 중급편을 잘 구분해서

공부를 해야 하는 것이다.

기본편은 문장, 5형식구조, 8품사, 구와절의 형태, 문장이 길어지는 원리,

영어와 한글의 차이점 등의 문장구조 중심의 설명으로 이루어 져야 한다.

+ 여기에 기본단어, 숙어등과 연습용 독해지문, 암기용 지문문장을 더해서 구성한다.

 

 

중급 문법책은  그 다음에 필요한 단문/중문/복문의 문장구조의 복잡한 형태를 제시한다.

준동사나 접속사를 이용한 구와 절의 세세한 형태를 예시로 보여주고 암기를 할수 있게

정리를 필요로 한다.

세부적인 문법사항을 암기용으로 제시한다.(가정법, 접속사, 관계사절, 특수구문, 중문/복문/단문 등등)

 

 

 

...

 

 

...

논리적인 영어공부를 하는게 원칙이다.

기본문장 다음에 수식어가 온다는 사실을 논리적으로 설명하는 학습이

조그마한 시작점을 제시한다.

그래서 자신이 구사할수 있는 간단한 한줄짜리 문장의 숫자를 늘리는 것이

제대로 영어공부를 하는 것이다.

 

단순한 암기와 복잡한 문법이론의 이해는 항상 함께 해야할 것이다.

결론적으론는,

항상 많은 단어나 문장을 암기하는 것이 영어를 잘하는 방법이기 때문이다.

 

 

문법과 구문, 문장구조와 단어를 어렵게 공부하지만,

결국 영어신문, 영어소설을 읽을때는 그 고생한 이유를 깨달을 것이다.

시험점수만이 아니라 진짜 영어를 말하고 글로 표현할수 있는 실력은

노력만이 가능하게 만든다.

 

뭐든지 공짜로 이루어지는 일은 없다.

이 세상에서............

 

 

 

 

 

 

 

 

...

 

 

 

 

...

 

 

 

============================================

 

 

# 문장구조 공부를 하는 이유는........

 

 

 

 

 

기본문장 다음에 이어지는 수식어는 정해져 있다.

형용사패턴과 부사패턴이라고 고정화 시키면 문장을 대할때 부담감없이 영어를

접할수 있을 것이다.

 

 

첫단어를 보자마다 형용사구, 형용사절, 부사구, 부사절로 판단하는 감각훈련이

필요하다.

그에 관해서는 준동사와 접속사절을 많이 공부하고 많은 예문을 암기하면

충분히 대처 가능할 것이다.

 

 

우리가 영어공부를 하는 스킬은,

처음 보는 문장 조차도 보자마자, 의미단위별로 앞에서부터 직독직해 할수 있다는

자신감을 기르는 연습이 중요하다는 사실에 관한 것이다.

 

 

결국은 문법이론과 단어와 표현덩어리를 암기할수록 영어실력이 늘지만,

의미단위로 덩어리 표현을 암기하는 연습과 스킬이 준비되면 훨씬더 쉽게 영어공부를

할수 있다는 확신이 있다.

 

 

의미단위별로, 기본문장과 준동사구와 접속사절을 인식하고

앞에서부터 영어문장을 읽는 연습을 할수록, 영어원서나 영자신문을 읽을수 있는

실력이 더 한층 빠르게 늘것이다.

 

많은 영어책을 읽기위한 준비운동을 한다고

생각하면 마음이 한결 가벼울듯 싶다.

 

 

 

 

 

 

...

 

 

 

 

...

 

 

 

========================================

 

 

 

 

 

 

 

 

 

 

 

 

 

 

 

 

 

 

 

 

 

====================================

 

 

 

 

# 영어공부의 몇가지 기술을 설명한다.

 

 

 

 

 

끊어읽기의 몇가지 스킬이 있다

 

 

 

 

 

 

(1) 의미단위로 잘라서 접근한다.

그러나 무턱대고 잘라서 읽고 해석한다는 것은

별로 도움 안되는 스킬이다.

 

주절을 끊어서 읽고 넘어간다.

여기에 더해지는 수식어 덩어리를 구와 절의 형태로 이해하고 암기하는 연습을 하는것이

직독직해의 목적이다.

 

단순히 의미단위로 끊어읽기가 무슨 영어의 대단한 비법인지 말하는 수능강사가 많은데,

그 끊어서 이해하는 이유와 스킬을 알아야 공부방법을 이해할수 있는 것이다.

 

 

 

 

 

 

(2) 주절을 강조하고,

거기에 더해지는 표현 덩어리는 수식어이고, 종속절이라서 약하게 처리하고 넘어가는

스킬이 필요하다.

 

즉, 주절 다음에 오는 수식어 덩어리는 <형용사패턴>이거나, <부사패턴>으로 해석한다는

스킬적인 부분을 이해해야 직독직해라는 스킬을 사용할수 있다.

 

 

 

 

 

(3) 어휘적인 차원에서,

단어나 구동사, 문법용어를 조금은 더 이해해서 암기한후에

독해를 해야 그 공부가 자신의 몸으로 체득된다.

 

공부를 많이 해도

자신의 머리나 몸으로 체득되는 효과적인 공부를 해야 하는 것이다.

 

 

 

 

 

 

 

이정도만의 스킬로도

영어독해를 통해서 많은 지식을 얻는게 가능하다.

세상의 모든 영어학습의 비법을 알아야 영어가 되는 것이 아니고,

몇가지 기본스킬을 가지고도 성실하게 문법, 단어공부를 하면

영어를 잘할수 있게 되는 것이다.

너무 욕심내지 말자.............

 

 

 

 

 

 

 

Ex. 02

 

예문을 보자

( Time magazine..............인용)

 

 

 

 

 

 

And so, in 2016, her sentence was reduced to  21 years, and she applied to eight colleges

--- including Harvard, where she planned to study history or American studies.

In a personal statement appended to her application, Jones addressed her past, explaining

that she had a psychological breakdown after experiencing abandonment and domestic violence

and that she had repeated those patterns with her son. Now, she wrote, " I have made a

commitment to myself and him that with the time I have left, I will live a redeemed life, one of

service and value to others."

 

 

 

 

 

 

 

 

우리가 문법책의 문장을 제대로 공부해도 왜 영어가 잘 안되는가의 의문점이

있을 것이다.

 

실제 영어문장은 책에 나오는 단순한 <5형식 패턴>을 벗어나 있다.

 

그리고 우리가 배운 문장구조가 너무 단순하고, 단순한 암기 위주의 문법공부로

실제 영어문장을 의미단위로 접근하는 기술이 많이 부족하기 때문이다.

 

 

실제 우리가 일상에서 접하는 문장은 수식어가 덧붙여 있고, 주절이 아닌

종속절을 처리할 필요가 있다.

 

그런 몇가지 스킬을 알아야 영어문장을 공부할수 있는 자기주도적인 공부의 스킬을

얻게 되는 것이다.

 

 

 

위의 예문을 <주절과 종속절>, 의미단위별로 끊어서 읽기좋게

배열해 보자.

그리고 주절에 밑줄을 그어보았다.

 

 

 

 

 

 

And so,

in 2016,

her sentence was reduced to  21 years,

 

and she applied to eight colleges

--- including Harvard,

 

where she planned to study history

or American studies.

 

//

her sentence was reduced to 5 years  ........... 형량이 5년으로 줄어 들었다.

reduce 라는 동사는 수동을 쓰일때는 to 전치사 다음에 기간을 나타낸다.

 

 

she applied to 3 colleges ............   그녀는 3개의 대학에 지원하였다.

apply 라는 동사는 to 라는 전치사가 필요한 자동사이다.

 

이런 세세한 동사나 명사 등의 어휘와 숙어, 표현의 사용법을 제대로

공부해야 실력이 는다.

 

she planned to study history ............. 그녀는 대학에서 역사를 전공할 계획이었다

 

 

 

이렇게

문장구조와 의미단위로 잘라서

소화할수 있는 만큼의 공부량을 성실하게 하루하루 채워나가다 보면

어느순간에 영어를 잘할수 있다는 자신감이 생길듯 하다.

 

 

 

=============================================

 

 

 

 

 

In a personal statement

appended to her application,

Jones addressed her past,

explaining

that she had a psychological breakdown

after experiencing abandonment

and domestic violence

 

and

that she had repeated those patterns

with her son.

 

 

//

대학지원서에 덧붙여진 개인적인 설명서에서/

존스는 자신의 과거에 대해 언급하였다/

 

...

 

 

...

우리가 영어공부를 할때 왜 <끊어읽기> , 직독직해, 의미단위에 집착하게 되는 걸까 ?

그 이유는,

청크 단위로 영어어순에 익숙해져서 한글이 아닌 영어문장을 나중에

구사할 실력을 키우기 위함이다.

 

또 다른 이유는,

영어는 어순법칙이 명확하고, 구조적인 언이이고, 특히 <순서언어>이다.

그래서 단어나 의미단위를 위치시키는 방법을 아는 것이 영어를 구사하는데

많은 도움이 되기 때문이다.

그것이 <어순법칙>을 공부하는 이유이기도 하다.

 

< 개인적인 설명서에서/ 그녀의 지원서에 덧붙여진/

존스는 자신의 과거에 대해 언급하였다/ ..................>

 

이런 방식의 접근에서

다음에는 위의 어순단위의 한글을 영어로 사용할수 있는 실력을 조금씩

습득하는 방식이 영어공부인 것이다.

 

연습으로 한다면,

..........---->>>>>   in a personal statement she addressed her past....

뭐 이렇게 응용해서 문장을 구사할수도 있는 것이다

하나씩 단어든, 문법이든, 표현덩어리든 습득하는 것을 자신의 것으로

만든 노력이 필요할 뿐이다.

 

 

 

...

그녀는 정신적으로 어려움을 겪었다고 했다

-------------> she had a psychological breakdown

 

 

(부모한테서)버림을 받고, 가정폭력을 겪은 후에

---------->>> 

after experiencing abandonment

and domestic violence

 

단어나 숙어를 공부할때도 <청크>단위로 실제 사용하는 형태로 그대로

암기하는게 편리하다.

 

가정폭력 ---> domestic violence

버림 ----------> abandonment

 

등등

 

 

 

==============================================

 

 

 

 

 

 

Now, she wrote,

" I have made a commitment to myself

and him

 

that with the time I have left,

I will live a redeemed life,

one of service and value to others."

 

 

 

 

 

 

 

...

 

 

 

...

의미단위로 끊어읽기의 기술을 다양하게 응용하는 방법을

항상 연구해 보면 영어를 잘할수 있는 비법을 발견할수 있게 될것이다.

 

 

예전에 배우던 학교문법의 엉터리같은 내용도

제대로 설명하면 좋은 학습방법을 안내하는 지식이 된다.

공부를 할려면 제대로 스스로 왜 공부를 하는지 이유와,

그 공부스킬에 대한 스스로의 생각이 필요하다.

 

그래야

진짜 실력을 키울수 있는 공부를 할수 있게 되는 것이다.

 

 

 

 

 

 

...

 

 

...

 

==============================================

 

 

 

끊어읽기의 스킬 몇가지로 우리는 직독직해 방식의 독해공부의 장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10년동안 학교나 학원에서 공부한 문법이나 단어, 독해의 공부방향을 조금이나마

올바른 방향으로 수정하기를 원한다.

 

문법, 단어, 독해공부가 실제 영어를 사용하는 실력으로 성장하기 위해서는

강사나 학생이 스스로 공부의 스킬을 개발할려는 의지가 있어야 한다.

 

의미단위, 청크 중심의 문장구조를 영어공부의 핵심에 놓는다.

그리고 그외의 전통적인 문법책의 내용과 단어, 숙어공부를 가공해서 도움이 되는

학습방법을 제시한다.

 

구문독해나 영영사전, 콜로케이션 학습법 등의 최신 학습법을 실제로 응용하면서

제대로 독해하는 방법을 공부한다.

 

 

이런 기본적인 방법을 연구해야,

영어 원서나, 영자신문을 읽고 사용할수 있는 실력을 키울수 있다.

그리고 그런 바탕이 튼튼해야 말과 글로 능동적으로 영어를 구사할수 있는

실력자가 될수 있다.

 

 

 

 

 

 

...

 

 

...

요즘같은 취업이 힘든시대, 비정규직이 많은 시대에서

이왕이면 20대 초반부터 프로로서 제대로 경력관리할수 있는 능력자로서

성장하고자 한다면,

영어공부를 제대로 해야 할 것이다.

분명히 연봉을 제대로 받을 실력의 기초는 영어학습과 컴퓨터, 자격증, 시험등의

개인의 스펙을 높이는 노력에서 출발한다고 생각한다.

 

현실은 정말 노력하는 사람들의 편인 것이다.

 

 

 

 

 

 

 

...

 

 

 

...

 

 

=============================================

 

 

 

 

 

 

 

 

 

========================================================

 

 

# 영어공부를 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

 

 

 

 

영어를 잘한다는 것은 어쩌면 우리나라에서는 필요없는 생각이다.

왜냐하면, 토익, 토플 등의 시험성적이나 공무원 시험만 잘 치면 되는 나라이기 때문이다.

실제로 영어를 말하거나 글로 표현이 가능한 사람은 특별한 몇명만이 필요하다.

즉, 국제 무역이나 변호사, 대학교수나 영어강사,

또는 미국과의 FTA 협력을 할때만이 영어전문가가 필요하다.

 

 

그래서 어쩌면 우리는 영어를 정말 잘하는 공부를 원하지 않는지도 모르겠다.

시험점수만이, 그리고 권력이나 대기업, 공무원, 돈만이 우리가 원하는

가치기준이기 때문이다.

특히 IMF 구제금융을 거치면서 우리나라 사람의 가치기준은 거의 돈밖에는

없다고도 할수 있다.

 

 

왜 헬조선이라는 상황이 된 것일까 ?

그 이유가 궁금하기 보다는, 어떻게 대학생이나 취업청년층으로서의 직업을 구한다는

측면에서의 방법만이 궁금할 뿐이다.

 

정부 예산을 아무리 많이 투자하고, NCS등의 새로운 기술교육등을 동원해도

청년 실업률은 높아지기만 하고, 실제 우라가 사는 주위를 둘러봐도 전부 토익이나

대기업을 준비하거나 아니면 공무원 시험 준비를 하는 사람들 뿐이다.

 

 

진짜 자신의 경험과 능력을 살릴수 있는 전문가가 되기 위한 공부는 누구도

원하지 않는다.

 

 

 

 

 

...

 

 

...

진짜 프로로서의 전문가로 인정받기 위해서는

영어를 공부하는 것은 거의 필수이다.

왜 그런가 이유를 알아가는 것이 대학생 정도의 청년들의 의무이기도 하다.

다른 사람들이 대신 설명해줄 필요는 없는 것이다.

 

 

 

(형식적인)스펙이 필요없는 세상을 만들기 보다는,

진정한 스펙, 능력이 인정받는다는 현실을 제대로 이해하길 바랄 뿐이다.

 

 

 

 

 

 

 

 

...

 

 

 

...

 

 

=========================================

 

 

# 영어학습의 원리 몇가지를 설명한다.

 

 

 

 

 

 

영어는 구조적으로 단문, 중문, 복문이라는 세가지 정도의 문장종류를 가진다.

단문의 문장구조를 논리적으로 이해하고, 주절과 종속절이라는 설명툴로 접근하는 것이

영어를 잘 하기 위한 방법이다.

 

의미단위나 청크 단위의 공부는 구와 절의 접근방법과 <뼈대와 수식어>라는 문장구조를

설명하는 한가지의 방법이라고 할수 있다.

 

5형식 문장패턴을 이해하고, 의미단위와 <구와절의 확장스킬>, 어순법칙과 영어와 한글의

차이점등을 이해하는 방향에서 제대로 영어문법을 공부하는 출발점을 발견할수 있다.

 

 

영어는 몇가지의 기본원리가 다양하게 결합하고 발전하고 압축,확장의 패턴을 거치면서

아주 길고긴 글로서 발전하는 문장구조의 원리를 가진다.

 

그 몇가지 영어원리와 문법의 결합, 압축, 확장결합에 의해서 문장이 만들어진다.

 

 

 

(1) 어순법칙

 

 

(2) 영어와 한글의 몇가지 차이점

 

 

(3) 구와 절의 확장, 교체, 압축 패턴의 이해

 

 

(4) 단어-->구 -->절로의 발전단계로서 문장이 길어짐

 

 

(5) 뼈대와 수식의 원리, 주절과 종속절의 원리

 

 

(6) 5형식 문형으로 이해하는 주절의 발견

 

 

(7) 표현의 발견

 

 

(8) 영영사전, Thesaurus등의 현대적인 영어연구의 결과물 이용하기

 

 

 

 

 

등등의 영어 기본원리를 이해하고 일관된 논리로서 문장구조와 문법, 단어암기와 문자연습을

통해서 영어를 제대로 배울수 있는 것이다.

 

 

문법은 그런 몇가지 기본원리와 공부방법을 우리에게 알려주는 안내서이다.

그리고 문법과 단어,숙어등을 이용해서 사용할수 있는 많은 문장, 표현덩어리를 습득하는 것이

우리가 해야할 영어공부 방법이라고 하겠다.

 

 

몇개월, 몇시간만에 정복되는  영어학습의 비법은 없다.

그냥 하나씩 성실하게 공부해서 자신의 실력을 제대로 만들어가는 노력만이

영어 전문가를 만들 뿐이다.

 

 

 

 

 

 

 

...

 

 

 

 

...

 

 

 

 

 

========================================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