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요즘은 유튜브, 트위치, 카카오TV, 아프리카등의 <1인 크리에이터>유행인

시대이다.

영어도 문법, 회화정복, 넷플릭스, TED등을 정복하는 내용으로

유튜브에서 많은 활동이 보인다.

영어가 돈을 버는 수단인것은 아주 오래된 얘기지만,

진짜 영어정복이 좀 쉽게만 된다면 

약간의 투자는 아깝지는 않을텐데....

 

 

 

 

지금은 나까지 나서서 영어학습법을 장사할 필요는 없다.

우선 더 깊이있는 공부를 할때이다.

아직은 더 배우고 연구해야할 정도의 실력밖에 없기도 하고,

좀더 올바른 영어학습의 방향성을 찾아서 정리할 시간이기도 하기때문이다.

 

 

...

 

 

...

 

 

---------------------------------------------------------------------------------------

 

 

#

문법공부의 핵심을 말하자면,

 

 

문장을 기본문장과 수식어패턴으로 나누어 보는 감각연습이

가장 중요하다.

공부의 대상은 한권의 교재로 진행하면서,

그 예문들을 해석하고 문법적 구조를 분석하면서 <기본문장>이나, 표현덩어리를

많이 암기하는 방식이 가장 좋은 학습법이다.

 

너무 빨리 목표를 이루려는 욕심으로,

제대로 차근차근 바탕을 탄탄히 다지는 공부법을 잊게 실수의 출발점이라는

생각이 든다.

한권의 교재로 영어가 끝나지는 않지만,

그 한권의 교재속의 독해지문과 문장, 표현덩어리를 제대로 공부할때 

문장구조학습에 대한 방향성을 찾을수 있다.

 

 

한권의 교재선택을 하고, 반복학습이 많이 필요하고,

깊이있는 문장분석이 필요하다.

문장과 독해지문의 전체속에서 단어나 표현덩어리의 연구가 필요하다.

너무 어려운 보카수준의 단어가 아니라 쉬운 기본적인 <단어, 표현덩어리>의 

의미단위나 구조에 대한 분석, 이해가 더 많이 필요한 것이다.

 

 

보통 선생님들이 <단어공부를 할때면 예문을 꼭 같이 봐라>하는

조언을 한다.

중고딩때는 그 조언 단어를 암기할때 문장을 보면 좀더 쉽게 암기되고,

그 단어의 뜻이나 용법이 쉽게 머리속에 들어가는데 도움이 된다는 의미로

생각했다.

 

 

그러나,

진짜 문장속에서 단어를 공부한다는 의미는 훨씬 더 중요한 가치를 가진다는

사실을 몇년전부터 느끼기 시작했다.

영어공부의 대상은 <단어>나, <문법이론암기>가 아니라 구어체표현덩어리나

문장, 의미단위의 접근이 되어야 영어실력이 진짜 늘수 있다는 것이다.

그리고 그 동사/단어가 만들어내는 <표현의 틀>이나, 콜로케이션,

숙어, 등등의 덩어리표현이 영어공부의 목표라는 사실도 또한 강조하고 싶다.

 

 

문법만을 익히는 공부는 가짜다.

문법을 문장속에서 적용하는 연습과 함께 <구어체표현 덩어리>를 학습하는

병행학습이 공부의 핵심인 것이다.

이론도 중요하지만, 그 이론을 실제 문장속에서 사용하는 용법, 표현공부에 집중할

때가 된것이다.

공부의 질도 중요하지만, 공부량이 많아야 효과도 볼수있다.

영어는 연습을 통해서 반복되는 경험을 몸속에 체득해야 실력이 느는 경향성을

가진다.

 

 

 

 

 

...

 

 

...

 

 

-------------------------------------------------------------------------------------

 

------------------------------------------------------------------------------------------------

 

 

 

#

추상적인 이야기, 영어비법등은 유튜브등에서 많이 있으니

신경쓸바는 아니다.

진짜 영어공부를 열심히 해도 잘 늘지 않는 이유를 찾아보자.

 

 

문장 = <기본문장> + [부사패턴]

문장 = <주어 + 서술어 + [형용사패턴]목적어 + 보어>

 

문장 = <기본문장> + [형용사절] + [부사패턴]

 

 

주어 :: 명사

서술어 :: 동사

목적어 :: 명사

보어 :: 명사, 형용사

 

 

 

...

...

 

 

---------------------------------------------------------------------------------------

 

문장은 어순법칙이다.

 

문장 = <기본문장> + [수식어패턴]

문장 = <주절> + [종속절]

 

단어를 종류별로 나누어서 정리한다.

명사, 동사, 형용사, 부사 별로 정리해서, 그 단어의 뜻, 숙어, 표현, 구동사,

콜로케이션등을 골고루 학습할때 실력이 빨리 발전할수 있다.

<표현덩어리, 청크>단위로 그룹을 지어서 정리하고 암기하면 

더 확실한 실력이 될수 있다.

 

 

5천단어, 만5천단어등 보카바이블등의 어휘교재로 공부를 하면

시험점수는 올라갈지 몰라도, 실제 전반적인 영어실력은 별 차이가 나지 않는다.

그 이유는 그 단어를 둘러싼 <문맥, 구어체표현 덩어리, 문장>의 친밀함이 

몸으로 체득되지 않아서이다.

독해교재나, 문장교재로 그 단어나 표현의 주변 문맥을 습득하는 연습을

많이 해봐야 할것이다.

 

 

<왜 단어장, 보카책으로는 단어가 잘 암기 되지않을까 ?>

<왜 단어장, 보카책으로 익힌 표현, 단어는 잘 내것이 되지않는걸까 ?>

 

 

영어실력이 늘려면,

<쉬운단어, 표현으로 된 구어체 표현의 단락, 쉬운단어로 된 영자신문등의 

내용이 쉬운 교재학습이 많이 필요하다는 사실을 인지하자>

중학교 단어와  토플/텝스/토익/공무원 영어학습 사이의 중간단어, 중간 영어문장이나

독해교재의 문장, 단락에 대한 공부부족이 영어실력의 발전을 막는 진범이다.

 

언어공부는 몸으로 체득되는 과정이 필요하다.

단순한 시험문제를 푸는 작업이 아니다.

그래서 초보, 초중급, 중급 등등의 단계별로 단어, 문장, 문법의 적용연습을

독해교재나 문장교재로 수없이 많이 해야 하는 것이다.

쉬운 표현도 수많은 반복과 연습을 통해서 몸에 체화되어야

자신의 영어실력으로 변신하는 것이다.

 

 

 

...

...

 

 

 

------------------------------------------------------------------------------------

 

 

#

<단어, 표현 공부>

 

422. solid : 고체(의)

423. sore[쏘어] : 쑤시는, 아픈

424. soar[쏘어] : 치솟다

425. sour[싸우어] : 시큼한

426. suggest : 제안(암시)하다

427. suggestion : 제안

428. propose : 제안하다, 청혼하다

429. proposal : 제안

430. dispose : 배열(처리)하다

431. disposal : 처리, 처분

432. disposition : 성격, 성질, 배열

433. task : 업무, 임무

434. tight : 단단한, 딱맞은, 꽉끼는



출처: https://sfzine.tistory.com/category/영어학습법_베타/*..암기용 기본단어..* [Web 공부 하자 !]

 

 

 

 

422. solid : 고체(의)

 

• The table seemed solid enough, so I climbed up onto it.

// solid = firm, hard

• After eight solid hours of driving, I was exhausted.

// solid = continuous

 

426. suggest 제안(암시)하다

 

• I'm not sure which is the best wine to order. What would you suggest?

 

• My Dad suggested that I should apply for the job.

 

• His letter seemed to suggest that he wasn't satisfied with my work. 

 

 

 

단어나 구어체표현을 사전에서 예문을 찾아서 암기하는 방식으로는

별로 효과가 없다.

사람의 머리가 컴퓨터가 아니기 때문이다.

<한권의 회화책, 문장, 독해교재를 공부하면서, 그 책에 나오는 구어체표현을

연습하는 방식으로 맥락속에서, 스토리텔링환경안에서 친숙함을 느끼는

방식으로 학습이 진행되어야 할것이다.>

 

 

...

 

...

 

 

 

---------------------------------------------------------------------------------------

 

 

#

문법책을 논리적으로 재구성한다면,

 

 

 

 

단문, 중문, 복문의 순서로 재배치해야 할것이다.

단문의 영역에서 기본적인 문법설명이 다 가능하다.

영어의 가장 기본인 문장의 개념, 4품사론, 구와절의 접근법, 어순법칙,

주절과 종속절의 관계, 준동사, 접속사절의 이해 등등

 

중문은 등위접속사로 연결된 2개의 단문으로 구성된다.

복문은 종속절을 명사절, 형용사절, 부사절로 나누어서

그 종속절과 주절의 논리적인 관계를 설명한다.

접속사를 종류별로 인식하고, 이해,암기하는것이 가장 중요한 과제이다.

 

 

 

독해교재나 문법책, 보카책을 공부하면서 항상 예문에 집중해야한다.

기본문장을 많이 이해,정리, 암기하는 것이 영어실력을 만들기때문이다.

문장 = <기본문장> + [수식어패턴]

문장 = <주절> + [종속절]

 

 

 

 

 

 

 

 

 

 

 

 

--------------------------------------------------------------------------------------------

 

----------------------------------------------------------------------------------------

 

 

 

#

영어학습은 기본학습의 준비가 되었다면,

그 다음부터는 시간과 노력에 비례해서 실력이 늘어가는 정당한 게임이다.

문법책의 정리와 단어,표현덩어리를 많이 암기한 상황에서

구문독해책을 이용한 문장 독해연습과, 표현덩어리를 적용하는 연습과정을

충실히 거치면 영어는 쉽게 정복 가능하다.

 

 

영어실력이 초짜일때는

그렇게나 불가능해 보이는 토익,텝스 고득점과 미드를 이해하는 능력은

요즘의 정보가 넘치는 사회에서는 쉽게 정복이 가능한 시대가 된것이다.

 

 

그러나 실제 현실에서는,

유투브나 EBS강사의 말처럼 영어정복이 쉽지는 않다.

 

 

...

 

...

 

 

----------------------------------------------------------------

 

 

 

#

영어학습의 기준은 단어가 아니라 <문장, Sentence>이다.

문장의 개념을 이해한다.

문장은 <기본문장> + [수식어패턴]의 결합으로 이루어진다.

기본문장과 부사패턴을 구별하는 연습이 기본이다.

기본문장과 형용사패턴을 구별하는 연습이 두번째 할일이다.

기본문장은 <5형식문형>이론을 기반으로 접근한다.

다시 말해서, 기본문장은 4가지 필수성분을 구별하는 연습이다.

즉, <주어, 서술어/동사, 목적어, 보어>를 구별하는 방법을 단어학습이나,

표현덩어리 학습을 할때 항성 병행해야 한다는 논리가 된다.

 

 

 

문장을 <2부분, 3부분>으로 구별하는 감각, 의미단위별로 나누어 읽는 능력이

<끊어읽기 접근법>의 핵심능력이다.

어순법칙의 원리에서 이론이라기 보다는, 실제 동사표현을 구현하는 과정에서

영영사전을 이용한 많은 문장분석연습을 통해서 습득해야할 스킬이자 영어공부의

대상인 셈이다.

 

 

 

예를 들면,

동사는 자신이 구현할수 있는 형식이 몇가지인지 공부해야 하고,

주어나 목적어, 보어로 사용되는 명사라면, 그 주어의 시작과 끝을 어떻게

빨리 인지할까의 감각이다.

단어나 표현덩어리를 공부할때 항상 <의미단위>로 덩어리를 만들어서 연습하는

자세가 필요하다.

 

<가장 필요한 작업은>

우리가 사용하는 영어교재의 문제점을 인식하는 일이 될것이다.

시험문제나 객관식 문제풀이 용도의 문법책이나 독해교재가 아니라,

실제 영어문장, 표현덩어리, 문법이론을 제대로 학습할수 있는 형태로

어떻게 교재를 만들까를 고민해야 한다.

문제풀이 교재로는 영어정복은 아주 힘이 들고, 시간 낭비가 심하다.

 

 

 

after school

after the class

after I finished my homework

...

...

 

 

 

단어, 표현덩어리 암기할때의 수준과 문법이론을 마구잡이로 이해하는 

기본단계에서의 영어학습은 그렇게 어렵지는 않다.

단지 지겹고, 단순작업이 많아서 힘이든다는 의미는 가지지만,..

 

단어나 문법공부의 단계에서 <독해공부>의 단계로 건너뛰는 과정에서

뭔가 분명한 학습단계를 생략했다는 느낌이 강하다.

왜냐하면,

영어에 몇년이나 투자해도 실력으로는 기초단계를 벗어나지 못하는

사람들이 많기 때문이다.

그리고 토익 고득점은 가능한데, 실제 영어구사력은 불투명한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기초공부와 중급사이의 어딘가,

<중간영역에서의 표현덩어리, 구와절의 연습,암기, 문장의 정리와 암기작업이

생략된것이 그 원인일것이라 추측된다.>

우리 영어수업은 보통 대략적인 해석위주의 독해공부를 하거나, 토익/텝스의 문제풀이를

위한 독해문풀 스킬을 키우는데 수업의 초점이 맞춰져 있기 때문이다.

공부는 시간투자한만큼,

내적으로 쌓이는 실력이 있어야 한다.

문제풀이는 단순한 점수만을 위한 스킬 몇가지만 가르치는 단기적인 효과만 있다.

1,2년간 공부를 해도 실력으로 전환되는 부분은 작은 몇가지일 뿐이다.

 

영어교재나, 수업, 강사, 학습자는 실제 영어실력이 쌓이는 

방향성이 어디인지 확인하고,

그 방향으로 공부를 해나가야 한다.

 

 

 

 

...

 

....

 

 

Theo Decker, a 13-year-old New Yorker, miraculouly survives an accident

that kills his mother. Abandoned by his father, Theo is taken in by the family

of a wealthy friend.

Bewildered by his strange new life and tormented by his longing for his mother,

he clings to the one thing that reminds him of her: a small, mysteriously captivating

painting that ultimately draws Theo into the art underworld.

 

...

...

Who is Theo ?

What mystery is behind the book story ?

This is a novel and soon to be a Movie in a few months ...

 

 

영어는 감정이다.

공부를 하고싶은 동기유발이,

강사가 되든, 미드나 영화가 되든간에 그 공부대상인 교재에 대한

관심을 갖고 스스로 자기주도적인 학습이 필요하다.

문장속에서의 <스토리텔링>에 대한 호기심, 관심이 있다면,

그 영어문장을 읽기위한 독해공부를 시작할 것이다.

공부는 그 대상에 대한 재미, 호기심, 열정이 있다면

저절로 하게 되어있다.

 

 

 

단어를 공부해도 100개, 200개 정도에서 그치면

별로 실력이 되지않는다.

5천단어 정도는 단순암기하고, 다시 영영사전으로 처음부터 다시 한단어씩

용법과 숙어, 표현덩어리까지 깊이있게 공부해야 실력이 는다.

 

문법교재나 독해책도 4,5회독이상씩 반복하는 정성이 있어야

그 내용이 머리속에 조금이라도 남을 것이다.

 

새로운 교재, 새학원, 새 문법강의 등등 매번 새로운 것만 찾다가

영어를 망치는게 우리나라의 영어학습의 근본적인 문제점일 것이다.

학습자도 마찬가지이다.

 

공무원 과목보다 영어가 더 많은 재미없는 반복과 회독이 더 필요하다는

사실을 흔히 잘 잊곤하는 것이 학습자의 문제점이다.

 

 

쉬운 구어체표현 덩어리 학습이 필요하다.

독해나 구문독해교재를 통해서, 보카책을 통해서건

그 표현덩어리를 논리적인 장치인 문장구조 중심의 문법에 대한 

관점으로 잘 이해하고 암기, 정리하는 노력이 필요하다.

 

공부교재나 그 단계적인 프로그램에 대해서는

아직 많은 연구가 있어야 할듯 하다.

문법적인 이론으로 문장구조를 보는 감각이 길러진다.

그 바탕위에서 단어, 표현덩어리를 많이 암기해서 영어의 판을 탄탄히

만들어본다.

<연습과정과 교재의 구성>이 중요하다.

성문종합영어책이 문제가 아니라, 그 문법을 수준에 맞게 가르치고, 이해하고

그 연습을 할 독해지문을 수준별로 알맞게 제공하는 센스가 부족한 탓이다.

부정사, 명사, 관계사 등의 이론만 몇십번이고 강의한다고 영어실력이 저절로

학생들의 머리속에 들어가는 것은 아님을 명심하자.

 

 

잘 짜여진 문법이론을 잘 정리해서 이해시켜야 하고, 그에 맞는 문장을

해석하고 표현덩어리로 정리하는 감각을 가르쳐야 한다.

단계별로 문장이 어떻게 길어지고, 더해지고, 또는 압축되어 축소되는지 

등등의 스킬을 풀어서 설명해야 한다.

거기에 연습에 필요한 교재도 잘 만들어 제공해야 할것이다.

 

 

 

 

...

 

 

...

 

 

------------------------------------------------------------------------------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