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K팝스타 라는 오디션 프로그램을 좋아한다.

 

노래도 좋지만,

태어날때부터 재능을 갖고 있는 초보 가수들의 성장하는 모습을

보는 재미가 쏠쏠하다.

 

 

아마츄어와 프로가수의 차이는 또한 크다는 것을

매번 볼때마다 느낀다.

그 차이점을 극복하면 <솔로가수>로 성장하고 성공할수 있다.

하지만 대부분의 참가자는 자신의 정해진 루틴을 벗어나지 못한다.

작은 차이지만,

결과적으로는 아주 큰 차이점을 만드는 것이다.

 

 

노래는 못하지만,

오디션이나 많은 좋아하는 가수들의 공연을 많이 보다보면

알게 되는 사실이 있다.

박효신, 박정현, 임재범, 이은미, 윤도현, 소향, 등등의

최고의 가수들은 모두 자신만의 개성과 함께

그만큼의 스킬과 실력을 갖는다는 사실이다.

 

 

 

 

 

영어공부도 마찬가지다.

영어도 문장구조에 대한 관점을 인식하지 못하면

영원히 암기하는 대상이 될뿐이다.

영어의 구조적인 특성을 이해하는 방향에서 공부를 할때

제대로 실력있는 영어구사가 가능할 것이다.

 

 

 

...

 

 

...

 

 

-------------------------------------------------------------------

 

 

#

영어를 제대로 공부하기 위해서는

문법책, 단어장, 구문독해교재등이 필요하고, 영영사전으로 병행하는 것이

거의 필수적이라고 하였다.

막상 공부를 하다보면 우선 기본적인 실력을 만드는 과정이 오래 걸리고 재미없을

수도 있다. 그래서 영어를 잘하기가 쉬운일이 아니다.

 

 

 

문장은 기본문장과 수식어패턴을 구분하는 스킬을 연습하는 곳에서

공부가 시작된다.

 

 

 

예문을 보자.

 

When giving performance feedback, you should consider

the recipient's past performance and your estimate of his or

her future potential in designing its frequency, amount, and 

content.

 

 

 

위 문장에서 몇가지 표현을 추출해본다.

 

(1) giving performance feedback

(2) you should consider his past performance

(3) your estimate of her future potential in ~

 

 

처음 영어기본을 공부할때는,

<구어체표현>, 기본문장등을 이해하고 집중적으로 연습해야 한다.

핵심표현은 많이 모아서 정리, 암기해야 나중에 유창한 말과 글을 사용할때

언어적인 재산이 될수 있기 때문이다.

우리는 영어수업시간에 이런 기본표현을 연습하고 암기하는 과정을 소홀히 한다.

그래서 몇년간을 공부해도 머리속에 쌓이는 영어재료 Input 이 거의 없는 것이다.

그러니 당연히 영어로 스피킹이 안될수 밖에...

 

 

기본문장과 표현덩어리를 암기, 정리, 연습하는 과정이 기초라고 무시하면 안된다.

많은 시간, 노력이 투자되어야 한다.

문법지식은 이런 영어재료가 머리속에 많이 쌓일때 그 효과를 

발휘한다.

 

 

 

...

 

 

...

 

 

 

------------------------------------------------------------------------------

 

 

 

 

------------------------------------------------------------------

 

 

 

 

#

<문법책의 내용을 재구성한다>

 

 

 

 

문장이란?

어순법칙이 영어공부의 가장 기본이다

문장 = 기본문장 + 수식어패턴

문장 = 주절 + 종속절

어순법칙은 여러가지 내용을 가진다.

아직은 정해진 코스는 없다. 하나씩 정리할 계획이다.

<순서>는 영어에서 특별한 의미를 가진다.

주절과 종속절의 순서가 중요하다.

기본문장안에서는 <주어 + 서술어~>라는 순서가 한국어와는 다르다.

기본문장, 즉 5형식문형을 공부하는 이유중에 하나가,

이런 어순법칙을 패턴화해서 암기하고 나중에 문장,독해에서 적용할수 있기때문이다.

 

 

 

 

기본문장은 단문이다

단문을 구성하는 5형식문형의 연구

5형식문형을 만드는 필수성분(4개) + 수식성분(2개)

주어, 동사/서술어, 목적어, 보어에 넣을수 있는 품사는 몇개인가

<4품사론>의 도입

 

단문은 4개의 자리수에 각각의 단어를 넣어서 문장을 만든다.

단어 대신에 <구, 절>을 넣는게 문장을 길고 복잡하게 만드는 방법이다.

 

중문 = 단문이 2개 모인것이다. 중간에 <등위접속사>로 연결한다

 

복문 = 주절에 종속절을 연결해서 문장을 확장한다

종속절은 3개이다

명사절, 형용사절, 부사절

각각의 종속절을 만드는 <종속접속사의 기능과 개념>을 아는 것은

중요한 일이다.

 

 

단문의 영역에서 주어, 서술어, 목적어, 보어를 각각 설명하면서

문법의 기본영역을 대부분 설명한다

(5형식문형, 시제, 수동태, 조동사, 명사, 대명사, 관사, 형용사, 부사, 비교

,전치사, /부정사, 동명사, 분사/ 접속사, 관계사 등등)

 

 

문법책은 <단문 --> 중문 --> 복문>의 순서로 전체적인 진도를 

잡아가면서 개념을 잡고 문장구조를 생각하면서 틀을 잡으면 된다.

기본적인 바탕을 탄탄히 하면, 그 다음에는 단어와 구어체표현을 암기하는

과정에서 실력이 잘 자리를 잡아갈 것이다.

문법적인 틀을 잘 이해하는 것이 나중에 큰 도움이 된다는 것이다

 

 

 

 

...

...

 

영어를 잘하기 위해서는 이해를 할 대상과 암기를 할 대상/교재를 

미리 나누어서 접근해야 한다는 사실을 명심하자.

문법책은 처음에는 이해가 원칙이고, 나중에는 암기를 한다.

단어나 표현덩어리는 단순암기도 중요하지만, <구어체표현>을 연습하기

위한 좋은 자료나 학습법을 고민해서 시작할 필요가 있다.

 

명사단어, 명사구, 명사절,

형용사단어, 형용사구, 형용사절,

부사단어, 부사구, 부사절,

등등의 <덩어리표현>을 어떻게 정리하고, 어떤 교재로 학습을

진행할까에 대한 고민이 많이 필요하다.

그냥 대충공부해서는 영어정복은 불가능하다.

 

 

 

 

 

-------------------------------------------------------------

 

 

 

#

<영어공부의 전체적인 순서>

 

 

영어공부 = 문법책 + 단어/구어체표현암기 + 구문독해 + 단락독해

등의 순서로 진행한다.

결국 영어원서, 소설, 영자신문/ 토플,텝스, 토익, 오픽, 스피킹/

넷플릭수, 팟캐스트, TED 등의

현실적인 영어를 하기 위해서는 깊이있는 영어공부가 필요하다.

 

 

 

...

 

...

 

 

-------------------------------------------------------------------------

 

 

#

<영어공부를 위한 준비물, 교재 등등>

 

(1) 영어문법책을 추천한다

(2) 좋은 영영사전의 추천과 간단한 설명

(3) 목표에 따라 다른 교재와 수준, 공부계획을 선택해야 한다

 

 

 

 

 

 

 

 

 

 

 

 

 

 

 

------------------------------------------------------------------------------

 

 

[               영어의 구조적인 접근                  ]

 

 

 

#

문장을 <기본문장>, <수식어패턴>으로 나누어보는 스킬이 중요하다.

<기본문장>을 <주어+서술어+목적어+보어>로 나누어 보는 스킬을 익힌다.

문장을 2개나, 3개부분으로 의미단위로 덩어리를 인식하는 스킬이 문법책을

공부하는 핵심이유가 된다.

 

 

(1) 문장은 어순법칙이 지배한다.

(2) 문장을 2개, 3개로 나누어 보는 <의미단위, 청크, 표현덩어리>접근법이 중요

(3) 의미단위를 나누어보는 기준은 <문법표지, Signpost, 이정표>이다.

의미단위의 앞부분을 구별하는 표지판은,

주로 to부정사, ~ing, 접속사, 전명구, 관계사 등이다.

즉, 전통적으로 <구와절>을 나누는 문법장치를 의미한다.

문법을 공부하는 이유는 문장구조와 어순법칙을 배우자 하는 것이고,

그 다음에는 <끊어읽기>의 단위를 잡아내는 스킬을 배우는 것이 된다.

 

 

 

그 다음에 할일은,

문법책을 정리해서 이해, 암기하는 작업이 될것이다.

20개정도의  품사문법으로 세밀하게 정리하는 

학습법을 병행해서 사용하는 것이 좋다.

 

 

단어암기도,

5천단어, 만5천단어를 단순무식하게 암기하는 방식도 필요하고,

구어체표현덩어리로 구분해서 정리하는 과정도 필요하다.

단어의 용법, 콜로케이션, 구동사, 표현등을 영영사전을 이용해서 깊이있게

연구하는 과정도 필수적으로 거쳐야 한다.

왜 영어가 안되는가 ?

현실적인 문제는 문법을 패턴문법으로 크게 보는 관점이 이해부족이기때문이다.

그리고 문법책을 완벽히 암기해서 문장공부나 독해공부에 적용하는 작업이

없어서이고, 단어나 표현덩어리를 익힐때 문법지식을 연습하는

과정을 철저히 지키지 못했기 때문이다.

단어는 <의미단위, 구어체표현>덩어리로 접근하는 방법을 써야

자신의 실력으로 체득될수 있다.

단어는 뜻만 알아서는 쓸모없고, 그 용법과 구동사등의 표현덩어리로 통짜로 

연습하고 암기해야 사용이 가능하다.

기본문장의 덩어리, 전명구, 형용사나 부사패턴 덩어리를 정리해서

암기해야 된다는 말이 된다.

 

 

 

 

 

한권의 회화책, 구문독해책, 독해교재를 선정해서

위와같은 관점하에서 하나씩 차근차근 실력을 키울때 확실한 영어정복이

가능하다.

시간과 노력이 많이 들어가지만, 확실한 실력향상이 가능한 것이다.

영어공부를 할때,

비법이나 비밀을 찾기보다는 평범하지만 시간,노력투자를

통해서 정복하는 바른길을 선택하는 것이 더 좋은 학습법인 것이다.

 

 

 

 

...

 

 

...

 

 

She made me so annoyed that I felt like shouting at her.

 

He was leaning against the wall with his hands in his pocket.

 

In most parts of the United States there are many organizations

to which persons interested in cats may belong.

 

 

 

:: 기본문장 ::

She made me so annoyed.(핵심표현, 기본문장)

-->The teacher made me angry(파생표현, 연습용 문장 만들기, 패턴의 발견)

-->My mom told me not to act like that, because it made her so crazy.

 

He was leaning against the wall.

--> The pretty girl was leaning against the wall and waiting for him

 

There are many organizations.

--> There are many people outside.

--> There are many books to read in this library.

 

:: 수식어패턴/기타 ::

that I felt like shouting at her

with his hands in his pocket

In most parts of the United States

 

 

 

 

// that(접속사), with, in(전치사)등의 문법표지를 보면서

<수식어패턴>, 부사패턴이나 형용사패턴의 시작임을 감각적으로 잡아내는 능력이

있어야 한다.

문장을 2~3개의 덩어리로 나누어 접근하는 <의미단위 인식감각>을 무지 많이

연습해야 한다.

// she made~ (주어 +동사의 구조를 보면서 기본문장/주절임을 감각적으로

잡아내야 한다.)

기본문장, 구어체표현덩어리를 단어나 문장,독해공부를 할때

자꾸 청크단위로 눈으로 구별하는 감각을 연습해야 한다.

문법지식도 영어사전이나 문법책으로 이해했다면, 자꾸 연습해서

몸으로 익히는 과정을 거쳐야 자신의 실력이 된다.

 

 

 

 

<첫단어나, 주어+서술어 덩어리>, <전치사, 접속사>를 보면서

빨리 주절인지, 수식어패턴/종속절인지 캐치하는 감각을 키워야 한다.

그 스킬습득이 <문법+단어+표현+구문독해+영영사전>을 공부하는

목적이기도 하다.

독해를 할때 <단어>가 아니라 <구와절의 의미단위>가 눈에 보여야한다.

 

 

 

 

 

...

 

...

 

문장을 2개, 3개 부분으로 나누어 보는 것이, 패턴문법이다.

기본문장과 부사패턴을 구분하고, 기본문장과 형용사패턴을 구분한다.

그 다음에 준동사를 사용한 길어진 문장에서 기본문장을 다시 세분화해서

<5형식문형>의 4가지 필수성분으로 구분해서 보는 방법을 연습해야 한다.

그것이 끊어읽기 학습법의 순서이기도 하다.

 

영어는 위치언어이고, 순서가 중요한 언어이다.

그리고 첫단어가 항상 정보를 알려주는 논리적인 언어이다.

첫단어를 보고, <주절>인지, <종속절>로 시작하는 문장인지 파악하는 것이

문장공부의 시작점이다.

 

 

Writing books can be extremely difficult, if you have no idea about

grammar patterns and lots of vacabulary.

 

The girl is writing a letter to her older brother in Finland.

 

 

똑같은 < writing~ >으로 시작하는 표현이라도, 위치나 문맥에 따라

주절인지, 종속절인지, 또는 동사인지 명사인지가 달라진다.

 

영어는 <시각적인 언어>이다.

눈으로 판단해서 그 문장의 의미나, 그 단어의 위치가 결정된다.

 

 

...

 

...

 

-------------------------------------------------------------------------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