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기존의 문법책 그대로 정리하고 이해, 암기하는 과정도 필요하다.

암기없이 저절로 영어정복이 가능하다는 생각은 꿈에 불과하다.

문장구조 중심의 방향성을 머리속에 두고 문법책을 정리해 나간다.

 

문법책을 단문, 중문, 복문이라는 문장구조중심 문법구조로 재구성하는

작업도 소홀히 하면 안된다.

실제 영어를 구사하기 위한 패턴문법으로 재정리해서 접근해야 

스피킹, 라이팅, 텝스/토플, 토익, 오픽등에 최적화된 문법을 배울수 있다.

 

 

 

문장구조에 기초한 문법책에서는,

필수성분과 수식성분이라는 구조를 중심으로 문장을 분석한다.

단어의 품사를 <4품사론>중심으로 접근한다.

 

(1) 명사 ---> 명사구 ---> 명사절

(2) 동사 

(3) 형용사 ---> 형용사구 ---> 형용사절(관계사절)

(4) 부사 ---> 부사구 ---> 부사절

 

 

이론적으로 <단어, 구, 절>의 교환방식으로 문장이 발전, 확장된다는

방식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

무작정 단어, 표현을 단순암기하는 방식으로는 영어가 잘 늘지않는다.

구조적인 접근과 이론적인 기반위에서 가능한 것이다.

결국 기존의 문법책의 목차 20개는 4품사론에 따라 재구성하면

문법을 보는 관점이 단순해지고 구조에 기반한 공부가 왜 필요한지 

알게 될것이다.

 

 

 

 

 

요즘 유튜브에서는,

영어공부법, 회화, 영어정복이 가능한 방법을 방송하는 개인 크리에이터가 

많다.

각자 자신이 영어를 정복한 방법을 홍보, 전달할려는 의욕이 보인다.

다양한 방법으로 영어를 공부하는 방법을 사람들에게 공개하고 있기에

좋은 방향성이라고 생각한다.

이제는 영어정복의 다양한 정보가 공개되는 시절이라서,

예전처럼 공부법을 몰라서 영어를 포기하는 시대는 지난것이다.

자신이 조금만 노력하면 영어를 잘할수 있는 방법을 쉽게 구하는

참 좋은 시대이다.

유튜브, 넷플릭스, 페이스북, 트위터, 등등의 플랫폼은 지식정보의 전달자로서의

역할을 제대로 이용할수 있는 방법을 소비자에게 공개하고 있다.

잘 이용해서 영어를 정복할수 있으면 좋겠다.

 

 

 

 

 

 

 

 

...

...

 

 

----------------------------------------------------------------

 

 

 

*** 문장구조 분석스킬 연습 *** 

 

 

 

 

 

(1) 기본문장과 수식어패턴 구별연습

(2) 기본문장과 형용사패턴 구별감각 키우기

(3) 기본문장을 5형식문형패턴으로 나누어보는 감각 연습하기

(4) 5형식문형의 4가지 자리에 <단어, 구, 절>을 넣어서 교환, 대체, 압축, 확장하는 방법

 

 

 

 

 

 

...

 

 

...

 

 

----------------------------------------------------------------------------------

 

 

 

#

영어공부를 하기 위한 단계별 접근법은 대충 3~4단계로

만들어진다.

 

 

(1) 문법책의 한권정리, 이해, 암기

(2) 단어와 표현을 단순암기 많이 하기(5천단어, 만5천단어정도)

(3) 구문독해, 독해교재로 문법과 단어학습을 <의미단위>로 연습하기

(4) 토익,토플,텝스, 오픽, 스피킹, 넷플릭스, TED, 팟캐스트에서 실전연다

 

 

초보단계와 기본, 중급단계를 거치면서 해야할 학습량을 단계별로

성실하게 소화하는 논리적인 학습만이 영어를 잘할수 있게 만든다.

결국 문법을 이해만 한다고 영어가 저절로 습득될수는 없다.

시간과 노력을 투자해서 열심히 반복연습을 꾸준해 할때만이

영어학습능력이 성잘할 것이다.

 

 

 

 

 

기존의 문법책을 정리하고 학습하는 방향성과 방법이 어렵긴하다.

그리고 단어와 표현을 프린트물로 암기하는 방식으로는 한계가 있다.

단어장, 문장교재, 독해교재나 문법교재를 공부하면서 그 속에 나오는 단어나

표현을 영영사전으로 찾아보는 방식으로 흥미를 갖고 접근해야 한다.

사람의 머리는 컴퓨터가 아니기에,

공부에 대한 열정을 찾아내는 동기부여 방법을 나름대로 찾아야

영어공부를 계속할수 있는 것이 현실이다.

 

 

 

...

 

...

 

 

 

---------------------------------------------------------------------------------------

 

 

 

 

---------------------------------------------------------

 

 

 

 

 

#

문법책의 공부는 2부분으로 나눈다.

(1) 기존의 문법책 그대로 교재를 이해, 암기하는 과정

(2) 문장구조,패턴문법방식으로 문법내용을 재구성하는 방법

문법을 너무 이론적으로 정리하면 실제 영어에서 도움이 되지않는다.

너무 어려운 문법을 버리고, 실제 토익, 오픽, 텝스, 토플, TED등의

실제 영어에 도움이 되는 내용위주로 논리적으로 잘 정리된

문법책을 만들어야 한다.

 

 

 

 

단어와 표현덩어리 공부는,

양이 너무 적다는데 근본적인 문제가 있다.

기본단어부터 5천개/만5천개까지의 단어를 모두 골고루 

그 단어로 구성된 표현덩어리, 문장예문까지 정리하는 방식으로

충분히 공부해야 효과가 있을 것이다.

그러기 위해서는 시간투자와 노력이 필요하다.

구문독해, 독해교재에서 이런 단어, 표현을 영영사전을 이용해서

폭넓게 그리고 실전적으로 많이 연습해야 한다.

 

 

결국 현실적으로 구현된 말과 글로 사용될 <표현덩어리, 구와절>의 

형태로 가공된 표현이나 숙어등을 많이 연습하고 암기해야 영어실력이

발전한다는 사실을 강조하고 싶다.

이론적으로 문법, 독해, 어휘를 아는 것과는 좀 다른 실전적인 연습을

통한 영어의 정리과정이 필요하다.

 

 

 

 

 

 

 

 

382. survey : 개관(하다), 조사(하다)

383. accomplish : 성취(완성)하다

384. achieve : 성취(완성)하다

385. carry out : 성취하다

386. address : 주소, 연설(제기)하다

387. block : 큰덩이, )막다

388. classic : 걸작의,일류의, 전통적인

389. content : 만족하는, 내용, 목차

390. be content(ed) with : 만족하다

= be satisfied with

391. courage : 용기(=bravery)

392. courageous : 용기있는

= brave, bold

393. bald : 대머리의

394. eager : 열망하는

395. be eager to+RV : -을 열망하다

396. be eager for+명사 : -을 열망하다

397. elegant : 우아한(=graceful)

398. expect : 기대하다, 예상하다

399. expectation : 기대



출처: https://sfzine.tistory.com/category/영어학습법_베타/*..암기용 기본단어..* [Web 공부 하자 !]

 

 

 

 

 

 

 

382. survey : 개관(하다), 조사(하다)

 

People were surveying the damage after the storm.

We conducted an opinion survey on the issue

and found that most people agree.

 

385. carry out : 성취하다, 완료하다

 

She failed to carry out/fulfill her promise.

We carried out several experiments to test the theory.

 

 

 

 

 

단어는 단순히 뜻만 알아서는 공부한 효과가 없다.

그 단어가 사용되는 표현덩어리를 통째로 연습하고 암기하고 정리

하는 과정을 거쳐야 자신의 것으로 될수 있다.

숙어나 콜로케이션, 구와절, 표현덩어리 위주의 학습대상의 수정이

항상 필요하다.

 

 

 

 

10년을 해도 영어가 안되는 이유는,

공부할 대상과 목표설정의 잘못이고, 공부방법과 방향성,

단계적인 접근법등의 문제점 탓일 것이다.

 

 

 

 

...

 

 

...

 

 

----------------------------------------------------------------------------

 

--------------------------------------------------------------------------------

 

 

 

 

#

영어공부의 순서도가 필요하다.

문법책의 한권선택과 정리+암기

그리고 단어와 표현덩어리의 많은 암기(5천개, 혹은 만5천개의 단어)

그 다음에 문법과 단어를 연습할 구문독해책, 독해교재, 영어원서등이 필요하다.

문법이론만을 정리할 필요가 있지만,

그와 병행해서 문법이론을 <문장, 구문, 표현덩어리>등의 실제문장에 적용하는

연습이 많이 필요한것도 사실이다.

 

영어실력은 문장과 표현덩어리, 단어구사력등의 실전에서

사용되지 못하면 아무런 의미도 없기 때문이다.

이론적인 지식보다는 실제 자신이 구사할수 있는 단어나 문장이 얼마나 되는가가

영어실력을 나타내는 표지판이 된다.

 

 

 

 

...

 

 

 

 

...

 

문법이론은 논리적으로 잘 정리해서 학습되어야 한다.

그래야 말과 글로 잘 표현하는 실력이 빨리 성장하게 되는 것이다.

즉, 소화하기 쉽게 정리가 되어야 실전에서도 잘 사용할수 있기때문이다.

 

 

 

 

 

(1)

영어공부는 <문장, Sentence>가 대상이다.

문장의 개념에 대한 이해가 가장 중요하다.

의미단위, 구와절, 준동사, 주절과 종속절, 문법표지등의 개념에 대한 공부가

중요한 학습대상이다.

문장은 기본문장과 수식어패턴을 구분할수 있다.

기본문장은 부사패턴과 구별하는 연습이 필요하고,

 

 

 

(2)

그 다음에는 기본문장과 형용사패턴(=후치수식어)을 구별하는 감각을 키워야한다.

 

 

(3)

기본문장은 다시 4개의 문장 필수요소를 각각 구별하는 실력이 필요하다.

주어, 서술어/동사, 목적어, 보어등을 구별하는 감각이 진정한 문법실력이다.

5형식문형을 중심으로 많은 단어를 공부할때 이런 4개의 필수요소의 위치,주소를

구별하는 연습이 필요하다.

 

 

 

 

(4)

단어자리에 <구와 절>을 교환, 대체해서 문장을 길게 만든다.

단어로 이런 문장연습이 어느정도 되었다면,

그 다음부터는 준동사구, 전명구등을 이용한 길고 복잡한 문장연습이 필요하다.

접속사를 활용한 <주절+ 종속절>을 구별하는 문법감각도 연습해야 한다.

 

 

 

 

 

전체적인 영어학습의 방향성은 위의 4단계접근법으로 진행한다.

세부적으로는 좋은 구문독해자료나 독해지문등을 이용해서

많은 단어, 표현으로 실천적으로 공부를 접근해야 효과가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서,

우리가 공부할 대상인 <5천개의 단어나 표현>, <만5천개의 단어>를

문장구조에 기초한 접근법으로 충분한 연습을 한다면, 영어정복이 그렇게 어려운

길이 되지는 않을 것입니다.

 

단어나 표현덩어리는 문법책의 논리적인 이론접근 방법을 활용할때

제대로 영어실력으로 체화될수 있다고 생각한다.

영영사전과 많은 다양한 학습교재를 병행하면서 연구해야 한다는 전제가 필요하지만,...

 

 

 

 

 

...

 

 

 

...

 

 

Tom went downtown to buy some books.

We went shopping downtown.

That's one of the best books I'v read in a long time.

The library has many dictionaries and other reference books.

 

I went to the Kyobo bookstore to buy some books.

 

What kinds of books ?

 

Grammar books and some reading materials.

 

The girl went to the book center to buy grammar books

to study English.

 

 

The other day, I went to the bookstore and met some pretty girl there.

 

Her name is Jane.

 

Jane is a student of a famous fashion school in Seoul.

 

SADI is the name of the design school.

 

 

 

...

 

 

 

...

 

우리가 영어를 잘 못하는 이유는 수백개가 된다.

그러나 공부를 열심히 했어도 영어실력이 늘지않는다는 말은 뭔가

이치나 논리가 맞지않는다.

공부를 하는 방법이 문제가 있거나 공부할 교재나 강사, 대상이 잘못된

경우일수 있다는 사실을 인식하자.

 

시험문제를 풀기위한 영어학습의 방향성이 잘못인것이고,

시험문제를 위해 설계된 강의, 교재가 문제라는 근본적인 질문을 던져야

영어를 제대로 할수있는 방법을 찾을수 있다.

 

 

 

 

위에서 몇개의 문장을 예문으로 제시하였다.

간단한 몇개는 내가 만든것이고, 몇개는 영영사전의 예문을

카피한 것이다.

영어공부의 목적은 우선 이정도의 문장을 구사하는 것이면 충분하다.

단지 왜 실력이 늘지 않는가하면,

영어를 한동안 열심히 공부한다면,

30개~100개의 단어로는 이정도의 문장을 만들어낼수 있을것이다.

하지만, 

우리의 목표인 천개, 2천개, 3천개~5천개등, 그 이상의 단어를

각각 문장을 만들어서 사용할 정도의 학습능력은 엔간한 영어학습자도

갖추지 못했다는데 그 문제의 근원이 있는 것이다.

독해지문을 대충 해석하는 실력은 어느정도 영어공부를 하면 이정도 문장이상의

어려운 문장도 가능할 것이다.

그러나 <영어 해석을 대충하는 정도의 실력>으로는 영어를 잘한다는 말을

하기가 어려운 것도 사실이다.

 

 

 

 

 

 

영어공부는 단어나 숙어,표현을 단순히 많이 암기하는 것으로는

실력이 되지않는다.

독해지문을 한글로 대충 해석,이해한다고 영어를 정복했다고 할수도 없다.

문법이론을 강의로 많이 듣는다고 또한 실력이 자신의 것이 되지 못한다.

 

 

단어나 표현을 많이 암기하면서,

그 용법을 제대로 알아서 문장과 표현덩어리로 많은 문장을 구사할수

있는 단계까지 나아가야 한다.

독해지문중 중고등, 수능정도의 단순한 문장정도는 자유롭게 구사할수

있어야 어느정도 실력을 인정할수 있다.

그 수준까지 공부하는 방법을 연구해보기로 한다.

그것이 이 블로그의 영어학습고민의 궁극적인 목표이기도 하다.

 

 

 

 

...

 

 

...

 

 

 

------------------------------------------------------------------------------

 

 

235. normal : 정상의, 보통의

236. abnormal : 비정상적인

237. promise : 약속(하다)

238. compromise : 타협(하다)

239. logical : 논리적인(=reasonable)

240. logic : 논리()

241. right : 올바른, 오른쪽의, 권리

242. shelter : 은신처, 피난처

243. stare at : -을 응시하다

244. strike : 때리다,공격하다,파업

(strike-struck-struck)

245. witness : 목격(하다),목격자

246. black sheep of the family :

집안의 미운오리 새끼

247. accuse A of B :

A B에 대해 비난(고소)하다

248. blame A for B :AB에대해비난하다

249. ancient : 고대의

250. ancestor : 조상, 선조

251. descendant : 후손

252. atmosphere : 대기, 분위기

253. beg for : 간청하다

254. beg your pardon :다시말씀해주세요

255. beggar : 거지

256. calculate : 계산하다



출처: https://sfzine.tistory.com/559?category=899420 [Web 공부 하자 !]

 

 

 

 

237. promise : 약속(하다)

 

I'v got to go -- I promised to be home by 10 o'clock.

I'll try to get back in time but I'm not making any promises.

 

242. shelter : 은신처, 피난처

 

We found shelter for the night in an abandoned house.

A group of us were sheltering from the rain under the trees.

 

 

243. stare at : -을 응시하다

 

Don't stare at people like that, you might upset them.

Chuck sat quietly for hours staring into the distance,

thinking of what might have been.

 

 

 

 

<단어공부의 문제점들>

 

(1) 단편적인 한글뜻만 암기한다.

(2) 100개, 200개의 아주 쉬운 단어는 용법과 예문 암기가 되지만,

천개, 3천개, 5천개 이상의 다양한 단어와 표현은 문장으로 구현될 정도의

예문공부가 안되어있다.

(3) 문법이론은 이론대로 따로 놀고, 단어나 표현은 단순암기만 하고

서로 연결되는 연습이 안되어서, 실제 단어나 문법이 말과 글로 구현될

정도의 공부가 부족하다.

(4) 단순암기된 단어량도 너무 적다. 최소한 5천단어~만5천단어정도는

암기되어야 한다.

 

 

 

 

 

...

 

 

...

 

---------------------------------------------------------------------------------------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