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교재 p257/p275 ...vLan >
# vLan 을 만들고, 컴퓨터를 각각의 vLan에 배정하고, 서로 통신되는가 확인하자
kt dns 서버 ---> 168.126.63.1 / 168.126.63.2
switch# configure terminal
switch(config)# vlan 100 <---- vLan 만들기
switch(config-vlan)# name ccna <--- vLan 이름 바꾸기
*** 스위치 마다 vlan을 새로 만들어, 서로 통신되게하기 위해서는
스위치끼리 연결된 포트에 스위치의 포트에 들어가서 < 포트에 트렁크 >설정을 해야 한다.
switch(configg)# interface fastethernet 0/1 <--- 포트에 들어가 설정하기
switch(config-if)# switchport mode trunk <--- 이 포트를 트렁크 포트로 설정함
switch(config-if)# switchport trunk allowed vlan all <--- 모든 vlan의 통신을 허용함
switch(config)#
switch# show vlan <--- vlan 설정 환경 보기...
****** 스위치에 연결된 컴퓨터에 ip배정하고 서로 통신하게 설정해 보자...
스위치에서 컴퓨터로 연결된 포트에 vlan 사용할수 있게 허용하자
switch# configure terminal
switch(config)# interface fastethernet 0/3
switch(config-if)# switchport access vlan 100
switch(config_if)# exit
switch(config)# exit
switch# show running-config <--- 포트마다, 설정환경을 확인 가능...
----------------------------------------------------------------
< 교재 p275 ... >
# VTP 설정 ( vLan 정보를 스위치끼리 서로 동기화하는 서버/클라이언트 설정)
pvst ---> vlan 당 스패닝트리가 따로 따로 다 돌아간다.
그럼, vLan 마다 따로 <대장 브리지>를 지정할수 있다...
1. 제일 먼저 모든 스위치에 일치시킬 정보(도메인과 버전2로) 설정한다.
switch# configure terminal
switch(config)# vtp domain ccna
switch(config)# vtp version 2
switch# show vtp status <--- 현재 vtp 설정 정보 확인
2.
switch# configure terminal
switch(config)# vtp mode server / client / transparent <--- vtp 서버 설정 가능
3. 실제 vLan 만들기 시작...
vtp mode(서버, 클라이언트)를 설정후에, 스위치에서 다른 클라이언트 스위치로 가는
포트에 <트렁크>설정 안해주면, vlan정보가 서버에서 클라이언트로 전파되지 않는다.
switch#
switch(config)# interface fastethernet 0/1
switch(config-if)# switchport mode trunk
switch(config-if)# switchport trunk allowed vlan all <--- 이 포트로 모든 vlan정보 지나는 것 허용함
switch(config)#
--------------------------
****** 참고, 한 스위치에 소속된 컴퓨터에 vlan 소속 정하기
switch(config)# interface fastethernet 0/3
switch(config-if)# switchport access vlan 200
switch(config-if)# exit
switch(config)#
--------------------------------------------
< 교재 p195 ... >
switch# show spanning-tree
switch(config)# spanning-tree vlan 100 priority 4096
<--- 해당 스위치를 대장 브리지로 만든다.
******** 스위치 3개가 루프 구조로 되었다면, 각 해당 스위치마다
vlan 마다의 대장 브리지를 다르게 설정할수도 있다.
------------------------------
******* < 과제 ....> *****************
------------------------------------------------------------------------
'컴퓨터 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 취업에 대한 이야기, 혹은 직업을 바꾼다는 의미... (0) | 2015.04.03 |
---|---|
VTP를 스위치 3대로 구현하는 순서 (0) | 2015.03.23 |
[ 2015. 3. 19 ] vtp 서버, 스위치 기능 수업... 진강훈 교재로 (0) | 2015.03.19 |
[ 2015. 3. 18 ] 네트워크 수업... (0) | 2015.03.18 |
[ 2015. 3. 17 ] stp 프로토콜 공부 (3) | 2015.03.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