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참고 서적 >
리눅스 서버관리 실무 바이블 v3.0
전2권, 구성: CD(2)
리눅스 서버를 다루는 기술
: 우분투 설치부터 네트워크 서버 구축, 자동화된 시스템 관리까지!
----------------------------------------------------------------
< 교재 p 247 ....참고 >
# VTP에 대한 공부...
vtp 모드 결정...vtp는 시스코만 쓴다. 표준화는 아니다.
VTP(vLan Trunking Protocol) --->vLan 정보를 같은 도메인 안에서 서로 공유/동기화하는 기능
1. 서버
2. 클라이언트
3. 트랜스페어런트(로컬만 정보 가짐)
*** vLan 정보 전달,동기화 과정
1. 서버가 요약정보(summary)를 클라이언트에 준다.
2. (서버가 준 요약정보의 리비전 넘버가 더 최신의 정보니까), 클라이언트가 <vLan 정보를 요청한다>
3. subset advertisement(vLan에 대한 자세한 정보)를 클라이언트에 준다.
... 더 최신의 정보임을 판단하는 방법은 ?
configuration revision number == 1(default 값), vLan을 만들때마다 갱신된다.
스위치에 패스워드 설정/보안 안하면, 임의로 리비전 넘버를 조작해서,
다른 스위치의 vLan정보를 다 바꿀수 있다.
그러니, 관리를 위해서는 < vTP 서버 >는 하나만 두는게 좋다.
------------------------------------
< 교재 p150....>
******** (장애 대비책으로서)이중화 구성의 종류 **********
1. 폴트 톨러런트(장애 대비책)---> 주장비와 보조장비의 성능차이가 있다.
2. 로드 밸런싱(로드를 분산하는 것)---> 2개다 같은 장비로 써야한다. 성능이 같아야 한다.
--------------------------------------------
< 교재 p219 .... >
# 카타리스트 스위치
*** Catalyst 2960-48PST-L
---> 48은 포트 숫자,
P는...PoE가 지원되는 스위치라는 뜻,
Power over Ethernet의 줄임말이다. (데이터와 전원을 게이블에 같이 공급)
-------------------------------------------
<교재.... p 238 ---> p 255 >
---> 오늘 수업 진도 나간 부분 교재...
---------------------------------------------
# 패킷 트레이서 실습 명령어...
스위치에서의 명령어
switch > 유저 모드
switch > enable
switch# 프리빌리지드 모드
switch# show running-config 현재환경 설정 파일 보기
switch# configure terminal 구성모드에 들어가기
switch(config)# ---> 여기 구성모드에서 기본 명령어 구사 가능...
switch(config)# hostname Cat2950
switch(config)# enable password ccna
switch(config)# enable secret ccnp
switch(config)# no ip domain-lookup <--- 명령어 잘못쓸데 방지하는 명령어
-----------------------------------------
< 교재 p352 ...... >
******** 콘솔에서나, 텔넷으로 로그인 할때 보안/패스워드 설정하기
switch(config)# line con 0 <--- 콘솔에서의 암호 설정...
switch(config-line)# login
switch(config-line)# password ccna
switch(config-line)#
switch(config)# line vty 0 4 <--- 텔넷에서의 암호 설정...
switch(config-line)# login
switch(config-line)# password korea
switch(config-line)#
switch(config)# exit
switch# copy running-config startup-config <-- 램에 있는 구성파일을 NVRAM에 기록
switch# write memory
-----------------------------------------------
switch(config)# banner motd *
스위치 시작화면에 표시되는 안내 멘트...
자신이 쓰고 싶은 정보 문구 쓰고, 시작한 특수문자 넣으면 끝남
스위치의 관리자, 회사이름 등등 *
switch(config)#
switch# write memory
switch# show clock
switch# show running-config
----------------
****** 루트브리지 우선순위 조정
switch(config)# spanning-tree vlan 1 priority 4096
switch# show vlan
switch> show spanning-tree
--------------------------------------------------------------------------------------
'컴퓨터 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VTP를 스위치 3대로 구현하는 순서 (0) | 2015.03.23 |
---|---|
[ 2015. 3. 20 ] vLan 구성과 통신 설정 수업... (1) | 2015.03.20 |
[ 2015. 3. 18 ] 네트워크 수업... (0) | 2015.03.18 |
[ 2015. 3. 17 ] stp 프로토콜 공부 (3) | 2015.03.17 |
[ 2015. 3. 13 ] 금요일, pc,하드웨어 수업... (0) | 2015.03.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