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영어순해나 독해교재등의 머릿말에는

[비교언어학적인 접근]이라는 말이 많이 나온다.

처음에는 독해나 구어체표현등의 교재의 광고문구나 영어를 공부하는

조그마한 스킬로 생각한적이 많다.

 

 

 

 

 

하지만, 

영어공부를 위한 새로운 연구결과를 수용하는 입장에서는

이런 접근법을 하나의 전략적 차원에서 독해공부의 방향으로 접근할수 있다.

뭔가 영어정복을 위한 하나의 좋은 아이템으로 이용할수 있다는 생각이 든다.

[비교언어학적인 접근법]은 <한글과 영어의 언어적인 차이점을 고려하면서 영어공부를 하자>라는

말의 동의어라고도 할수 있다.

 

 

 

 

 

 

 

 

영어는 한글과 다르다는 발상의 차이점에서 영어공부를 위한

[비교언어학적인 접근]은 어떻게 할것인가를 고민해본다.

국내에서 영어정복을 원하는 학습자들의 영어환경을 생각하면서 접근해야한다.

(블로그에 따로 써놓은 [클릭 --> 9강 한글과의 차이점]에서 영어와 한글의 차이점을

참고하세요,....)

(1) 영어공부의 대상은 단어, 품사, 문법등이 아니라 [문장]이다.

(2) 독해공부는 직독직해, 동시통역식 순해방식을 활용해서 속도감있게 접근하자는 생각,...

(3) 끊어읽기와 어순법칙에 기반해서 [앞에서 뒤로] 읽는 방향의 전환을 고민한다.

(4) 김영로의 영어순해교재에서 제시한 순해법, 구조, 그리고 표현의 접근법을 잘 활용하자.

(5) 문법책과 단어장, 그리고 독해교재를 기본실력으로 만들고 본격적인 영어공부를 하자.

(6) 현대적인 영어환경의 차이를 인식하자.

예전의 성문종합영어시대인 80년대, 90년대시대, 

IMF경제환경의 시대에서는 영어공부의 목적과 학습대상인 독해지문의 길이는

5p, 10p, 20p등의 단편적인 독해지문이 거의 대부분이었다.

그당시 아마도, 대기업취업시험이나 토익등, 중고딩영어,

대학원 입학시험등의 목표인 독해지문의 길이가 아주 짧은것이었다.

하지만,그와는 달리 2010년대 이후로는,

현재의 우리가 직면하고 있는 영어환경에서는,

영어독해지문의  목표길이는 예전 586세대때보다 10배이상 길어진 상황이다.

100p~200p를 넘는 영어원서를 2,3권 읽고 리포트를 작성하거나 토론하는 수업이 대다수인

해외 유명대학교의 영어수업 환경을 한번 상상해봐라.

옛날 문법번역식 접근법으로 그런 문제점을 해결할수 있을까 ?

2024년 현재의 영어공부환경에서,

우리는 어떻게 영어를 정복할것인가 ? 질문을 많이 하게 된다.

영어공부의 목적은 다양하다.

토플, 아이엘츠, TED, 팟캐스트, 유튜브 영어강의, 영어원서 등등의 공부량, 독해지문의 길이를

따라잡는 공부수준과 실력을 만들어야 진짜 영어정복이 가능하다는 사실을 잊지말자.

(7) 독해공부는 [독해지문의 의미,뜻]을 해석하는걸 목표로 공부하는게 우선순위라 할수있다..

하지만 2010년대이후로는, 

지금처럼 독해지문의 길이가 엄청 길어진 현실과 영어강의, TED, 영어원서등을 통해서

실시간으로 많은 양의 영어정보를 처리해야하는 시대적인 환경을 고려하면서 공부를 해야한다.

그리고 영어원서를 읽기만 하는게 아니고 스피킹과 라이팅으로 [출력훈련]을 해야하는

영어실력을 만들기 위해서는

좀더 속도감있게 독해접근을 할 방법을 찾아야한다.

 

 

 

 

 

 

 

 

 

 

 

 

 

 

 

 

 

...

...

---------------------------------------------------------------------------------------------

 

#

원래 국내에서 영어정복을 한다는 것은 거의 불가능에 가깝다고

영어전문가와 교수들이 말한다.

내 생각에도 그말이 전적으로 옳다고 생각한다.

 

그렇다면, 국내에서 어떻게 영어를 마스터할수 있을까 ?

국내에서 영어를 정복하는 최단코스는 [리딩 Reading학습]의 전략이라고 생각한다.

언어전문가인 스티븐 크라센 교수의 책을 한번 읽어볼 필요가 있다.

어디선가 들은적있는데, 우리가 독해나 영어원서로 공부를 해서 

공부량을 충분히 만들고 나면, 스피킹은 단기간에도 늘릴수 있다는 사실이다.

왜냐하면, 영어구조와 콜로케이션, 표현등이 충분이 몸속에 체화되어있기 때문이다.

그래서, 리딩학습이 가장 좋은 영어정복의 도구라고 하는것이다.

그리고 독해와 리딩학습법이,

영어권이 아닌 나라에서 돈을 절약하면서 영어공부를 잘할수 있는 최선의 전략이기도 하고 말이다.

 

 

 

 

 

 

 

 

국내에서 영어가 잘 습득이 어려운 이유중의 하나가 출판사 문제라고 생각한다.

(1) 저작권문제로 영세한 출판사에서는 독해지문을 주로 70년이상된 이솝우화,

소설등의지문을 공짜로 가지고 와서 성문종합영어나 독해교재로 만들어온게 잘못이라고

생각된다.

왜냐하면, 영어는 신문기사처럼 처음에는 구체적인 6하원칙한의 명료한 문장을

스피킹과 리딩, 라이팅의 기준으로 삼아야하기때문이다.

(2) 그리고 회화나 독해교재의

부록으로 제공하는 영어녹음자료를 미국사람으로 한게잘못이다.그러니 따라하기가

넘사벽이다.

내 생각에는 바이링구얼한 능력이 있는 한국인이면서 미국 대학원을 졸업한강사를

섭외해서 강의나 녹음자료를 만들면 더 효과적이라고 생각된다.

(3) 출판사가 시대환경을 따라가지못한다.유튜브를 생각하면, 영어독해교재를 주면서

공짜로라도 독해강의를 MP3로나 유튜브로 무료제공해야 하는데,

돈이 아까워서 무조건 판매할려는속셈이 문제가 된다.

(4) 새로운 영어연구결과를 출판사나 강사,교사, 대학교수나 저자들이 따라가지 못한다.

외국에서 코퍼스나 씨쏘러스, 구동사, 구어체영어, 콜로케이션등의 신기술이나와도

교재로 전환해서 책을 만들 의지가 없다.

그냥 옛날 성문종합교재나 비슷한 책을 만들어서 국내 영어학원체인점에 

많이 팔아서 출판사를 유지할 생각밖에 없다는 것이다.

 

 

 

 

 

 

 

 

 

 

 

 

 

...

...

-----------------------------------------------------------------------

 

 

 

 

 

 

 

 

 

 

 

 

 

 

 

 

 

 

 

 

 

 

 

 

 

 

 

----------------------------------------------------------------------

 

#

본적인 삶의 위치는 쉽게 바뀌지는 않는다.

매일 먹고사는 일을 고민하는 소시민의 입장에서야,

흙수저를 벗어나는 일은 꿈조차 허용하지않는 일이 된다.

 

 

 

아무리 지방소의 시대가 오고, 출생률이 0.70명이라고 신문에서는 떠들석해도

대부분의 중산층과 고소득층은 변화가 없으니까,

내 인생에 변화가 생길일은 없는 것이다.

 

 

 

언제부터 이런 포기를 받아들이는 인생을 살게 된걸까 ?

중고등때부터 정한 흙수저의 길을 당연시하는 삶을 선택하기 시작한 버릇을

벗어나지 못한, 선택의지의 문제는

온전히 내가 책임져야하는일임을 알고는 있는데,.....

 

 

로또나 시험이나 자격증의 무지개빛 희망은 그냥 꿈으로만 남을 것인가 ???!!!

 

 

 

 

 

 

 

 

 

 

 

#

공무원 시험은 1,2년안에 단기합격이 안되면,

그 다음부터는 시험합격에 대한 용기와 의지문제가 가장 큰 합격과 불합격의 원인이 된다.

몇번 도전했다가 떨어지니까,

내가 그만큼 시험에 올인하려는 의지가 약한 사람이라는걸 알게 된다.

바닦까지 가라앉아보면, 자신의 바닦을 직면할수밖에 없고, 그 두려움과 게으름을 이겨낼

용기와 의지, 결단력을 다시 찾는다는건 실제로 너무 어렵다.

계속 실패하는 이유는 부방법보다는 이런 게으름과 패배의 의식에서 벗어날 

의지가 없음이 가장 크다.

 

 

 

이런 무기력함을 이겨낼수 있는것은 

<자기 자신에 대한 믿음, 신뢰를 찾는 행위가 될것이다>

스스로의 결정에 대한 100%이상의 믿음을 스스로에게 줄수있는

너그러움과 세상에 대한 열린 마음을 가질수 있는 여유를 가지려고 노력하자.

 

 

고승덕이나 황남기, 전효진등의 고시합격생의 수기라도 보면서

용기를 배우자.

도서관에서 행정법기본서를 회독한후에,

며칠간은 휴식하면서, 시험을 어떻게 합격할것인가의 계획을 세우고,

새로 마음가짐을 고칠 시간을 갖기로 한다......

 

 

 

 

 

 

 

 

 

 

 

 

 

 

...

...

---------------------------------------------------------------------

 

 

 

 

 

 

 

 

 

 

 

 

 

 

 

--------------------------------------------------------------------------------------

2022.4.22 updated

 

 

 

# 독해교재를 선택할때 고민해야할게 많다

 

독해교재를 선택할때 주의할점이 많다.

영자신문이나 영어원서중에서 어려운 책을 고른다면 너무 어려워서 실용성이 떨어진다.

그렇다고 대충 회화책을 고르면,

문장구조에 대한 고민이 없는 시중의 영어회화교재는 단순암기용밖에 쓸데가 없는경우가

거의 대다수이다.

<구어영어, 구어체표현덩어리가 많이 들어간 실전적인 교재를 고르자>

<문법사항이 많이 들어가서, 독해연습과 문법연습이 가능한 교재를 고른다>

<단락독해를 위해서는 일관성있고 주제가 있는 구조가 좋은 교재가 필요하다>

 

 

 

 

지금까지의 문장구조이론과 시중의 문법책 한권의 완벽한 암기작업

+ 단어장 암기 + 독해교재나 영어원서 한두권을 정리한다.

이정도면 솔직히 영어공부비법을 찾으려고 돌아다닐 필요는 없다.

예전과 달리 교보서적에 가면, 영어정복을 위한 좋은 영어원서와 학습비법을 가득 담은

책들이 넘쳐나기때문이다.

기본실력을 우선 만들고 학원을 잘 찾아보면, 영어연습을 할수있는

원어민교사가 개설한 클래스가 있을테니 그런곳을 찾아서 스피킹이나 토플, 아이엘츠공부를

하면 대충 자신이 원하는 영어실력을 완성할수 있는 좋은 시대에 우리는 살고 있는 것이다.

 

 

 

 

진짜 고민해야할것은,

영어공부와 프로그래밍공부, 전공공부등을 활용할 해외취업방법이나

일본이나 캐나다, 유럽등에서 일할수 있는 스펙이나 자격증을 준비하는 것이다.

솔직히 출생율 0.70명의 나라에서는 미래에 대한 비젼은 없다고 보면 된다.

고시나 회계사등의 자격증에 관심 없다면,

프로그래밍, 대학원준비등을 통해서 해외이민이나 해외취업하는게 훨씬 삶을 

재밋고 안전하게 사는 법일 것이다.

자격증, 아이엘츠, 토플 등을 준비해서 외국으로 도망가는게 잘한 선택인 시대에 살고 있다.

 

 

 

 

 

 

 

 

 

 

 

 

 

 

 

 

 

 

#<영어로 생각하기에 대한 색다른 접근들...>

 

 

 

 

(1) 유튜브에서 다양한 영어교육방송이 있다

 

< 이 방송, BBC Learning English 방송은>

원래 의도는 단어를 배우는 내용인데,

출력중심 학습법에 관심을 가진 내 관점에서는

영어로 생각을 시작하는 방법으로 이해하고 이용할수도 있겠다는 느낌이 든다.

듣기연습이 영어로 발상을 하는 방법을 가르칠수도 있다

다양한 방법으로 영어를 접근하는 생각을 좀더 다양하게 발전시켜보자.

 

 

 
구독자 415만명
 
Improve your English vocabulary and speaking with this 'human emotions' 6 Minute English compilation from BBC Learning English! One hour of listening practice to help improve your English listening and learn LOTS of new vocabulary!
There are 10 episodes
and each contains authentic listening practice, fun quiz questions,
analysis of new vocabulary
and looks at how to use these words in real-life contexts!
0:00 Why are young people so lonely?
6:11 What makes you happy?
12:17 The teenage brain
18:23 The power of crying
24:27 Why do we feel awkward?
30:32 How your eyes predict personality
36:37 Anxious about talking to new people?
42:42 Is talking on the phone embarrassing?
48:48 Is there anything good about shame?
54:54 What makes you 'hangry'?

 

 

 

 

(2)  영어강의 자료 이용하자

 

BOX SET: 6 Minute English - 'Fashion and Shopping' English mega-class! One hour of new vocabulary!

https://youtu.be/whb80ZkoxRY

 

 

Improve your English vocabulary 

and speaking with this 'fashion and shopping' 6 Minute English compilation from BBC Learning English! 

One hour of listening practice to help improve your English listening 

and learn LOTS of new vocabulary! 

There are 10 episodes and each contains authentic listening practice, 

fun quiz questions, analysis of new vocabulary 

and looks at how to use these words in real-life contexts! 

 

 

 


0:00 Could you give up fast fashion? 
06:10 Is retail therapy good for you? 
12:15 Why are unicorns back in fashion? 
18:18 High heels: fashion or oppression? 
24:23 Are you a vampire shopper? 
30:28 The rise in popularity of the comfy shoe
36:33 Do you like hi-visibility fashion? 
42:39 Is being thrifty a virtue? 
48:44 What is surf and turf? 
54:50 Who needs a manbag?

 

 

 

 

 

 

 

...

...

 

-------------------------------------------------------------------------------------------

 

 

 

#<독해를 하면서, 어떻게 효과적인 영어실력을 높이는가,

---> 구체적인 하루하루 공부방법을 안내한다>

 

 

 

 

 

 

 

*******영어원서를 읽기위한 준비, 구체적인 목표설정을 한다면,

<참고>

The Best Way To Improve Your Reading Skills 📖📚 English Tips!

https://youtu.be/EgxApNETQKo

 

How to increase your vocabulary

https://youtu.be/UpbMvJ1n3XE

 

 

(1) 문장속의 문장구조, 패턴을 분석한다

(2) 어려운 구문, 단어, 표현, 구동사, 이디엄등을 정리한다

(3) 줄거리를 읽는 연습을 한다, 단락독해스킬을 연습한다

(4) 청크단위/표현덩어리, 패턴단위를 끊어가면서 읽는 능력을 연습한다

그래서 나중에는 듣기공부를 할때나, 미국드라마/미드, 팟캐스트를

들을때도 청크, 의미단위로 끊어져 들리는 능력을 키우는게 최종목표이다

 

(5) 문장을 주절 + 종속절로 구분하는 감각을 키운다

그래서 자연스럽게 문장을 읽으면서 주제문장을 찾아내는 능력을 기른다

 

(6) 유튜브 방송을 보면, 원어민들은 <단어>단위로 말하는게 아니라

<청크, 패턴덩어리>단위로 말을 하는걸 알게 된다.

그렇다면, 독해를 할때 그런 덩어리로 뭉쳐서 끊어읽기를 하는 스킬을

연습해야한다. 그래야 귀가 뚫리는 경험을 보다 쉽게 성취할수 있는 것이다

 

 

(7) 서점에선가 인터넷상에선가 어떤 수능강사가 책에서,

직독직해의 문제점을 말한걸 본적이 있다.

직독직해의 다양한 방법과 이론이 있다는걸 그분은 잘 몰라서인듯 싶고,

직독직해와 끊어읽기, 그리고 어순법칙과 의미단위 접근법의 다양한 원리와 스킬을

분석해서 올바르게 적용할 필요성이 있다

많은 연구가 필요하다.

 

(8) 5형식문형구조에서 벗어나 좀더 길어진 <문장구조, 패턴문법의 형태>를

기준으로 해서 독해를 진행해야 하는 이유를 연구한후에 독해공부를 시작하자.

 

 

(9) 독해는 청크단위를 2,3단어로 잡는게 시작점이고, 점점더 의미단위를

길게 잡는 많은 훈련을 해야 그 한번에 잡아내는 청크단위능력을 키울수 있다

 

 

 

 

 

 

 

 

 

 

 

********** 독해지문을 <조금 큰 청크>단위로 한줄씩 끊어보았다...

There were humans 

long before there was history. 

 

Animals much like modern humans 

first appeared 

about 2.5 million years ago. 

 

 

But for countless generations 

they did not stand out from the myriad other organisms 

with which they shared their habitats.

 

 

 

On a hike in East Africa 

2 million years ago, 

you might well have encountered a familiar cast of human characters: 

anxious mothers cuddling their babies 

and clutches of carefree children playing in the mud; 

temperamental youths chafing against the dictates of society 

and weary elders who just wanted to be left in peace; 

chest- thumping machos trying to impress the local beauty 

and wise old matriarchs who had already seen it all. 

These archaic humans loved, played, formed close friendships 

and competed for status and power

 

 

 

 but so did chimpanzees, baboons and elephants. 

 

 

There was nothing special about them. 

Nobody, least of all humans themselves, 

had any inkling 

that their descendants would one day walk on the moon, 

split the atom, 

fathom the genetic code 

and write history books. 

//

//

// 독해는 2가지의 학습결과물을 만들어낸다

// (1) 문장패턴, 문장구조의 분석

// (2) 사용된 좋은 표현들, 청크들을 정리, 암기할 기회 제공

//

// 원자를 쪼개어본다,

// 역사책을 써본다

// 달위에 걸어본다,

//  fathom the genetic code ----> ??? / 사전 찾아보기

// 

 

 

 

The most important thing 

to know about prehistoric humans 

is that they were insignificant animals 

with no more impact on their environment than gorillas, fireflies or jellyfish.

//

// 선사시대의 인간을 알아본다

// 그당시에는 그렇게 중요한 동물은 아니었다

// 자신의 환경에 그렇게 큰 영향을 주지않는...  찌질한 동물일뿐이다

// 

 

 

 

Biologists classify organisms into species. 

 

Animals are said to belong to the same species 

if they tend to mate with each other, 

giving birth to fertile offspring. 

 

 

Horses and donkeys have a recent common ancestor 

and share many physical traits. 

But they show little sexual interest in one another. 

They will mate if induced to do so  but their offspring, called mules, are sterile. 

Mutations in donkey DNA can therefore never cross over to horses, or vice versa. 

The two types of animals are consequently considered two distinct species, 

moving along separate evolutionary paths. 

 

 

 

 

By contrast, a bulldog and a spaniel may look very different, 

but they are members of the same species, 

sharing the same DNA pool. 

 

 

They will happily mate 

and their puppies will grow up to pair off with other dogs 

and produce more puppies.

 

 

 

Species that evolved from a common ancestor are bunched together 

under the heading ‘genus’ (plural genera). 

 

Lions, tigers, leopards and jaguars are different species 

within the genus Panthera. 

 

Biologists label organisms with a two-part Latin name, 

genus followed by species. 

 

Lions, for example, are called Panthera leo

the species leo of the genus Panthera

 

Presumably, everyone reading this book is a Homo sapiens 

– the species sapiens (wise) of the genus Homo (man).

//

//

// 생물학적 용어가 나오니 내용이 헷갈리기 시작한다

// 화이론에 따르면, 몇백만년전에는 인간과 침팬지, 고릴라, 우랑우탄등이

// 같은 조상에서 발했다고 말하는듯한데...

//

//

 

 

 

 

 

 

Genera in their turn are grouped into families, 

such as the cats

(lions, cheetahs, house cats), 

the dogs (wolves, foxes, jackals) 

and the elephants (elephants, mammoths, mastodons). 

 

 

All members of a family 

trace their lineage back to a founding matriarch or patriarch. 

 

All cats, for example, 

from the smallest house kitten to the most ferocious lion, 

share a common feline ancestor 

who lived about 25 million years ago.

 

 

 

Homo sapiens, too, belongs to a family. 

 

This banal fact used to be one of history’s most closely guarded secrets. 

 

Homo sapiens long preferred to view itself as set apart from animals, 

an orphan bereft of family, 

lacking siblings or cousins, 

and most importantly, without parents. 

 

 

But that’s just not the case. 

Like it or not, 

we are members of a large and particularly noisy family 

called the great apes. 

 

 

 

Our closest living relatives include chimpanzees, gorillas and orang- utans. 

The chimpanzees are the closest. 

 

Just 6 million years ago, 

a single female ape had two daughters. 

One became the ancestor of all chimpanzees, 

the other is our own grandmother.

//

// 6백만년이 흘러서 진화한 결과물이 오늘날의 생인류,

// 호모사피엔스,...

//

// 솔직히, 인간은 200년 이상의 시간단위는 현실감있게

// 상상하지 못한다

// 자신의 험가능한 영역을 벗어난다

// 그래서, 판단 불가능하다

// 지금부터 200년후, 1000년후의 지구상의 인간들은 어떤 생활을 할까 ?

// 

// 화정, 넥슨,...  김정주, 혹은 싸이월드의 부활

// 도토리에 대한 추억들 ???

// 

 

 

 

 

 

 

 

 

 

 

 

 

 

 

 

 

 

 

 

 

************************** [ 유발 하라리의 사피엔스 p14에서 인용함 ......... ] ******************

 

 

 

There were humans long before there was history. Animals much like modern humans first appeared about 2.5 million years ago. But for countless generations they did not stand out from the myriad other organisms with which they shared their habitats.

On a hike in East Africa 2 million years ago, you might well have encountered a familiar cast of human characters: anxious mothers cuddling their babies and clutches of carefree children playing in the mud; temperamental youths chafing against the dictates of society and weary elders who just wanted to be left in peace; chest- thumping machos trying to impress the local beauty and wise old matriarchs who had already seen it all. These archaic humans loved, played, formed close friendships and competed for status and power

 but so did chimpanzees, baboons and elephants. There was nothing special about them. Nobody, least of all humans themselves, had any inkling that their descendants would one day walk on the moon, split the atom, fathom the genetic code and write history books. The most important thing to know about prehistoric humans is that they were insignificant animals with no more impact on their environment than gorillas, fireflies or jellyfish.

Biologists classify organisms into species. Animals are said to belong to the same species if they tend to mate with each other, giving birth to fertile offspring. Horses and donkeys have a recent common ancestor and share many physical traits. But they show little sexual interest in one another. They will mate if induced to do so  but their offspring, called mules, are sterile. Mutations in donkey DNA can therefore never cross over to horses, or vice versa. The two types of animals are consequently considered two distinct species, moving along separate evolutionary paths. By contrast, a bulldog and a spaniel may look very different, but they are members of the same species, sharing the same DNA pool. They will happily mate and their puppies will grow up to pair off with other dogs and produce more puppies.

Species that evolved from a common ancestor are bunched together under the heading ‘genus’ (plural genera). Lions, tigers, leopards and jaguars are different species within the genus Panthera. Biologists label organisms with a two-part Latin name, genus

followed by species. Lions, for example, are called Panthera leo, the species leo of the genus Panthera. Presumably, everyone reading this book is a Homo sapiens – the species sapiens (wise) of the genus Homo (man).

 

Genera in their turn are grouped into families, such as the cats

(lions, cheetahs, house cats), the dogs (wolves, foxes, jackals) and

the elephants (elephants, mammoths, mastodons). All members of a family trace their lineage back to a founding matriarch or patriarch. All cats, for example, from the smallest house kitten to the most ferocious lion, share a common feline ancestor who lived about 25 million years ago.

Homo sapiens, too, belongs to a family. This banal fact used to be one of history’s most closely guarded secrets. Homo sapiens long preferred to view itself as set apart from animals, an orphan bereft of family, lacking siblings or cousins, and most importantly, without parents. But that’s just not the case. Like it or not, we are members of a large and particularly noisy family called the great apes. Our closest living relatives include chimpanzees, gorillas and orang- utans. The chimpanzees are the closest. Just 6 million years ago, a single female ape had two daughters. One became the ancestor of all chimpanzees, the other is our own grandmother.

 

 

 

 

 

***************************               ***************************

 

 

 

 

 

 

 

 

 

+ Recent posts